디자인씽킹 기반 단계별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를 활용한 기독교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과 디지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learners' gratitude tendencies on computer reasoning and digital efficacy in a Christian program utilizing metaverse, generative AI, and Scratch at each stage based on design thinking (Chapter I).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learners who participated i...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기독교교육 논총 2024, Vol.78 (78), p.231-262
Hauptverfasser: 김수연, 고봉익, 서응교, Su Yeon Kim, Bong ik Go, Eung gyo Seo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learners' gratitude tendencies on computer reasoning and digital efficacy in a Christian program utilizing metaverse, generative AI, and Scratch at each stage based on design thinking (Chapter I).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youth Christian program for two weeks on January 20th and 27th, 2024, consisting of 2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atitude tendencies, computer reasoning, and digital efficacy were measured through post-program survey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pen-ended survey questions were used for learner perception analysis (Chapter II).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gratitude tend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 computer reasoning. Additionally, learners' gratitude tendencies significantly affect confidence and familiarity among the sub-dimensions of digital efficacy, while not showing a significant impact on useful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specifically exploring learners' experiential perceptions in metaverse, generative AI, and Scratch utilization in design thinking-based edutech programs in Christian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 기반 단계별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를 활용한 기독교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과 디지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I장).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대상은 2024년 1월 20일, 27일 2주 동안 청소년 기독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명의 중·고등학생의 학습자이다. 프로그램 사후 설문지 검사를 통한 감사성향, 컴퓨터 사고력, 디지털 효능감을 측정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 학습자 인식 분석을 위해서 개방형 문항의 설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II장). 결론 및 제언 :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컴퓨터 사고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감사 성향이 디지털 효능감 하위 구인 중 자신감, 친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디지털 효능감 하위 구인 중 유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교육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에듀테크 프로그램에서 메타버스, 생성형 AI, 스크래치 활용을 통한 학습자의 경험 인식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언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디자인씽킹 기반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 진행 시 교수자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III장, IV장).
ISSN:1229-781X
2671-5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