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섭취여부에 따른 노인영양지수(NQ-E)를 활용한 식사의 질 평가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dietary quality of food consumed by the elderly is influenced by the consumption of healthy functional foods using Nutrition Quotients for the Elderly (NQ-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50 adults aged ≥ 65 living in Seoul or Gyeo...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23, Vol.56 (5), p.483-495
Hauptverfasser: 이지은(Jieun Lee), 황효정(Hyo-Jeong Hwang), 김혜영(Hye-Young Kim), 이정숙(Jung-Sug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dietary quality of food consumed by the elderly is influenced by the consumption of healthy functional foods using Nutrition Quotients for the Elderly (NQ-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50 adults aged ≥ 65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Those who had consumed healthy functional food for more than 2 weeks within the previous year were classified as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ers, and the quality of their meals was evaluated using the NQ-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4, and sex and age-associated differences were adjusted before comparing differences based on healthy functional food intake.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70.8. The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Nutrition Quotient (NQ) score were as follows: balance 43.3 points, moderation 56.7 points, practice 65.7 points, and NQ 52.5 points. When comparing differences according to healthy functional food intake status,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ers had significantly higher balance and NQ scores than non-consumers. When considering each NQ item score,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consumers for fruit, fish and seafood, eggs, nuts, and whole grain rice, and a higher score for effort to maintain a healthy diet. Conclusion: Dietary quality as assessed by Nutrition Quotients for the Elderly was better for healthy functional food consumers than non-consumers.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주 이상 지속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으로 판정하였고, 노인의 식생활 평가를 위해 구성타당도 평가가 수행된 노인 영양지수 (NQ-E 2021)를 활용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0.8세이었고, 건강기능 섭취 여부에 따른 연령, 키, 체중 및 체질량지수에 유의적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NQ-E 점수와 영역별 점수를 보면 NQ-E 52.5점, 균형 43.3점, 절제 56.7점, 실천 65.7점이었고, 영양지수 전체 17개 항목 중 60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총 7개였는데, '과일 섭취',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어패류 섭취', '달걀 섭취', '콩 및 콩 제품 섭취', '견과류 섭취'와 '단 간식 및 단 음료 섭취 절제' 점수가 낮아서 노인들이 전반적으로 다양한 식품군을 충분하게 섭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여부에 따른 차이를 보면 전체 NQ 점수와 다양한 식품군을 섭취하는 균형점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 건강기능식품 비섭취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NQ 판정등급 비율에서도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이 건강기능식품 비섭취군보다 NQ-E 점수와 균형 영역에서 [상] 등급이 8% 이상 유의적으로 더 많았다. 영양지수 문항별 점수에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은 과일, 어패류, 달걀, 견과류, 잡곡밥 섭취 및 건강한 식생활을 하려는 노력에서 건강기능식품 비섭취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에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이 비섭취군보다 영양지수 평가를 통해 전반적인 식사의 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건강기능식품 섭취군에서 균형과 실천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의 점수가 높은 것에 기인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노인들의 영양지수 점수가 낮고, 특히 균형 영역에 해당하는 다양한 식품군의 섭취
ISSN:2288-3886
2288-3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