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 화재에 따른 콘크리트 손상과 내화재 적용에 대한 연구

Fires in tunnel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temperature rise and higher maximum temperatures compared to ground fires. For this reason, countries such as the Netherlands and Germany have developed separate temperature-time curves for use in tunnel fires. Fires in tunnels cause damage to the tunnel...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2023, Vol.33 (3), p.169-188
Hauptverfasser: 최순욱(Soon-Wook Choi), 장수호(Soo-Ho Chang), 강태호(Tae-Ho Kang), 이철호(Chulho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Fires in tunnel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temperature rise and higher maximum temperatures compared to ground fires. For this reason, countries such as the Netherlands and Germany have developed separate temperature-time curves for use in tunnel fires. Fires in tunnels cause damage to the tunnel lining, such as loss of section and deterioration of the material properties. This study reviewed the design concept of fire stability of structures, section loss due to spalling,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unnel lining materials, fireproofing materials for structure safety, and fire damage prediction models.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a structure against fi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 of structure and the possible fire load at the design stage, identify the expected section loss and damage range, and prepare for such damage through fireproofing materials. In this study, we have summarized the matters that can be referred to in performing such a series of tasks and presented our opinions on them. 터널에서의 화재는 지상 화재에 비해 온도상승과 최대온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네덜란드, 독일 등 여러 나라에서는 터널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화재 시간이력곡선을 제시하였다. 터널 내 화재는 단면손실과 그 배면의 역학적 특성저하와 같은 터널 라이닝의 손상을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화재안정성 설계 개념과 스폴링에 의한 단면손실, 터널 라이닝 재료의 물리화학적 및 역학적 특성 변화, 구조물 안전을 위한 내화재, 그리고 화재손상 예측모델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재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계 단계에서 구조물의 종류와 화재원인을 파악하고 예상되는 단면손실과 손상범위를 확인하여 내화재를 통해 이러한 손상에 대비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사항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ISSN:1225-1275
2287-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