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항로표지 시스템에서 해상 객체 감지 가속화를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몇 년 사이 바다 신호등 역할을 하는 항로표지 시설이 디지털화되면서 단순한 표지판 기능을 넘어 해양 정보 수집, 감독, 관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울산항과 부산항이 부표 일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충돌을 감독하는 등 선도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첨단기술은 장기간 배터리 운용이 필요하고 관리ㆍ유지 등이 해양 특성에 지장을 받기 때문에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은 육상시설과 해양시설의 특성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양 분야의 풍부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2022-10, Vol.23 (5), p.47-58
Hauptverfasser: 전호석, Ho-seok Jeon, 송현학, Hyun-hak Song, 권기원, Ki-won Kwon, 김영진, Young-jin Kim, 임태호, Tae-ho 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최근 몇 년 사이 바다 신호등 역할을 하는 항로표지 시설이 디지털화되면서 단순한 표지판 기능을 넘어 해양 정보 수집, 감독, 관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울산항과 부산항이 부표 일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충돌을 감독하는 등 선도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첨단기술은 장기간 배터리 운용이 필요하고 관리ㆍ유지 등이 해양 특성에 지장을 받기 때문에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들은 육상시설과 해양시설의 특성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양 분야의 풍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지 주변을 지나가는 해양 객체를 영상정보로 분석해 자동으로 알림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들은 표지와 해양 객체가 충돌하면 센서를 기반으로 객체를 포착해 서버로 전송하지만, 이 방식은 사고가 발생한 뒤에야 안전사고 대처가 가능해 개선의 여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해양 특성을 기반으로 해상 객체 감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는 기존의 해양 영상처리 감지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으며, 보다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약 5배 빠른 처리 속도를 기록한 해상 안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In recent years, navigation aids, which plays as sea traffic lights, have been digitized, and are developing beyond simple sign purpos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marine information collection, supervision, control, etc. For example, Busan Port which is located in South Korea is leading the application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by installing cameras on buoys and recording video images to supervise maritime accidents.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to perform their major functions since the advanced technologies require long-term battery operation and also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m are hampered by marin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a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notify maritime objects passing around buoys by analyzing image information. In the existing sensor-based accident prevention systems, the alarms are generated by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The system can identify the cause of the accident whilst even though it is difficult not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accident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proposed a maritime object detection system is based on marine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ystem shows about 5 times faster processing speed than other existing algorithms.
ISSN:1598-0170
2287-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