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독성실험을 위한 한국 우점종 유리물벼룩(Daphnia galeata)의 특성 및 독성민감도: 큰물벼룩(Daphnia magna)과의 비교연구
Water flea is a widely used test species in the aquatic ecotoxicity test. In Korea, D. magna is currently used as a standard test species, however that do not inhabit in the Korean aquatic ecosystem. In this study, Daphnia galeata, which is a dominant species in the Korean aquatic ecosystem, was col...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16, Vol.38 (4), p.193-200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Water flea is a widely used test species in the aquatic ecotoxicity test. In Korea, D. magna is currently used as a standard test species, however that do not inhabit in the Korean aquatic ecosystem. In this study, Daphnia galeata, which is a dominant species in the Korean aquatic ecosystem, was collected from domestic lake and investigated to suggest the D. galeata for ecotoxicity assessment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life span, and toxicity sensitivity compared with D. magna. The life span test of D. galeata was performed in this study, and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sensitivity with D. magna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for ecotoxicity assessment. The 48h-L(E)C50 values for seven heavy metals (As, Cd, Cr, Cu, Hg, Ni, and Zn) of D. galeata and D. magn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s, shorter lifetime, less reproduction, smaller body size of D. galeata were observed compared with D. magna. D. galeata was similar or more sensitive than D. magna for seven heavy metals. Therefore, we propose that D. galeata is a suitable test species for ecotoxicity testing in Korea. 생태독성 관리제도가 국내에 도입된 이래 Daphnia magna(큰물벼룩)는 시험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D. magna는 국내 비서식종으로 국내의 담수 환경을 반영한 생태독성 평가에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국내 서식 물벼룩 중 적합한 시험종을 선정하여 생태독성 평가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Daphnia galeata(유리물벼룩)는 국내 한강 수계 우점종이며 대부분의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물벼룩이다. 본 연구에서는 D. galeata의 국내 고유 시험종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D. galeata의 특성 및 생활사를 확인하여 D. magna와 비교하였다. 또한 D. galeata의 독성민감도를 확인하고자 D. galeata 및 D. magna에 대한 7종 중금속(As, Cd, Cr, Cu, Hg, Ni, Zn) 급성독성자료 조사, 수집하여 민감도를 비교분석하였다. D. galeata의 생활사 측정결과 D. galeata의 생존기간은 $28{\pm}8$일로 D. magna의 절반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존기간 동안의 어미 개체당 새끼 생산량도 D. magna보다 적었으며, 평균적인 체구도 D. magna보다 D. galeata가 작았다. 독성민감도는 7종의 중금속에 대해 D. galeata가 D. magna보다 더 민감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D. galeata는 국내 고유 생태독성 시험종으로 적합하며 차후 D. magna를 대체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험종으로 사료된다. |
---|---|
ISSN: | 1225-5025 2383-7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