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ceosidin이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혈당강하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aceosidin on blood glucose regulation in type 1 diabetic mice. Methods: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Normal), diabetes control (D-Control), diabetes low-jaceosidin (D-0.005%), and diabetes high-jaceosidin (D-0.02%...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4, Vol.47 (5), p.313-320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aceosidin on blood glucose regulation in type 1 diabetic mice. Methods: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Normal), diabetes control (D-Control), diabetes low-jaceosidin (D-0.005%), and diabetes high-jaceosidin (D-0.02%). Type 1 diabetes was induced by streptozotocin and mice were then fed a diet containing jaceosidin for eight weeks. Fasting blood glucos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sulin tolerance test,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were assessed. Results: Jaceosidin supplementation for eight weeks had no effect on body weight, organ weight, and blood lipid profiles. However, jaceosidin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lowered fasting blood glucose level and reduced insulin resistance. We also found that jaceosidin supplementation increased antioxidant capacity by enhancement of catalase and GSH-px activiti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jaceosidin could be a therapeutic candidate to ameliorate hyperglycemia through increase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본 연구는 약쑥의 기능성 성분인 jaceosidin이 제1형 당뇨병에서 혈당과 체내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jaceosidin을 식이에 농도별(0.005%, 0.02%)로 혼합시켜 준비하였으며, 실험 동물은 C57BL/6J 5주령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정상군(Normal)과 당뇨군으로 나눈 뒤 당뇨군의 마우스는 5일간 streptozotocin (55 mg/kg bw)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다. 당뇨군은 당뇨대조군(D-Control), jaceosidin 0.005% 섭취군(D-0.005%), jaceosidin 0.02% 섭취군(D-0.02%)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8주간의 식이 섭취 결과, 당뇨군의 체중이 Normal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식이효율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jaceosidin의 섭취는 당뇨로 인한 체중 및 식이효율 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형 당뇨시 jaceosidin의 섭취가 장기 무게와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복 혈당은 D-0.005%가 D-Control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의존적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당부하검사에서는 당뇨군이 normal에 비해 혈당과 AUC 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jaceosidin 섭취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슐린 내성검사 결과에서는 D-0.02%가 당뇨 대조군보다 AUC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Jaceosidin의 섭취가 당뇨병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jaceosidin의 섭취가 과산화지질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효소인 GSH-px의활성은 D-Control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jaceosidin은 제1형 당뇨병시 간의 항산화 효소계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공복혈당을 낮추고, 인슐린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당뇨병이나 당뇨로 인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ISSN: | 2288-3886 2288-3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