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에서의 스트레스 부하 관류 자기공명영상 소견: 좌심실 벽 비후 정도와 지연 조영 증강 간의 관련성
Purpose :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perfusion defect (PD) on first-pass stress perfusion MR imaging in relation with the degree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and late gadolinium-enhancement (LGE) in patients with apical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PH). Materials and Methods...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aehan Chagi Kongmyŏng Ŭikwa Hakhoe chi 2014, Vol.18 (1), p.7-1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Purpose :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perfusion defect (PD) on first-pass stress perfusion MR imaging in relation with the degree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and late gadolinium-enhancement (LGE) in patients with apical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PH). Materials and Methods: Cardiac MR imaging with first-pass stress perfusion, cine, and LGE sequence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with APH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2. We analyzed a total of 416 segments for LV wall thickness on end-diastolic phase of cine images, and evaluated the number of hypertrophied segment and number of consecutive hypertrophied segment (NCH). We asses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D and LGE from all patients. If there was PD, we subdivided the pattern into sporadic (sporadic-PD) or ring (ring-PD). Using univariate logistic method, we obtained the independent predictor for presence of overall PD and ring-PD. Results: PD on stress perfusion MRI was observed in 20 patients (76.9%), 12 of them (60%) showed ring-PD. Maximal LV wall thickness and number of hypertrophied segment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overall PD (all, p < 0.05). NCH with more than 3 segments was an additional independent factor for ring-PD. However, LGE was not statistically related with PD in patients with APH. Conclusion: About three quarters of the patients with APH showed PD, most of them represented as ring-PD. LVH degree or distribution was related with pattern of PD, however, LGE was not related with PD. Therefor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D in the patients with APH seems to be different from those with non-APH, and further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carried out. 목적: 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에서 스트레스 부하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관류 결손의 빈도와 양상을 평가하고, 이를 좌심실 비대의 정도와 지연 조영 증강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심초음파 및 심전도로 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을 진단받고, 스트레스 부하 관류, 영화 영상 및 지연 조영 증강 영상을 포함하는 심장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화 영상에서 이완기 말에 416개 분절의 좌심실 벽 두께를 분석하였고 비후된 분절의 수와 연속하여 비후된 벽 분절의 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모든 환자에서 관류 결손과 지연 조영 증강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관류 결손이 있을 경우, 산발형 혹은 고리형의 2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단변량 분석을 통해 전체 관류 결손과 고리형 관류 결손에 대한 독립 변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의 76.9%(20명)에서 스트레스 부하 관류 자기공명영상시 관류 결손을 보였으며 이중 60% (12명)이 고리형 관류 결손을 보였다. 전체 관류 결손에 대한 독립 변수는 최대 좌심실 벽 두께와 비후된 분절의 수 였고 (p < 0.05), 고리형 관류 결손에 대한 독립 변수는 3개 이상의 연속한 비후된 분절의 수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지연 조영 증강은 관류결손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심첨형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의 4분의 3에서(75%) 관류 결손을 보였으며, 대부분이 고리형 관류 결손 형태를 보였다. 좌심실 벽의 비후 정도와 분포는 관류 결손의 형태와 관련이 있었지만 지연 조영 |
---|---|
ISSN: | 1226-9751 2288-38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