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종인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et T.C. Lee)의 지리적 분포와 미소생육지의 생태
A perennial plant species of Ranunculaceae, Pulsatilla tongkangensis is a very rare species only found in limestone vegetation of South Korea. It is not only rare but also has great value as a horticultural resource, thus resulting in serious problems of overexploitation and habitat disturbance. For...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생태와 환경 2014, Vol.47 (special), p.74-82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A perennial plant species of Ranunculaceae, Pulsatilla tongkangensis is a very rare species only found in limestone vegetation of South Korea. It is not only rare but also has great value as a horticultural resource, thus resulting in serious problems of overexploitation and habitat disturbanc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rare species and its development as a resour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aims: first, to investigate any new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second, to identify the site condi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its habitat; and third, to compare the ecology of P. tongkangensis in other microhabitats such as rock, slope and ridge area. A new distribution was found in limestone vegetation at Danyang-gun, Chungcheongbuk-do. It was, therefore,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P. tongkangensis exactly coincides with the area of distribution of limestone, indicating a possibility that the species might be a calcicole. 87% of the microhabitats found in rocks. Compared to P. tongkangensis, at ridges or slopes, number of P. tongkangensis plants were few in rocks. It is possibly due to the lack of microhabitats that could settle in rocky areas. Once established on rocks, however, plants grew large enough to flower with higher number of leaves and flowers per plant, resulting in higher flowering rate on rocky areas. Cracks in/between rocks are likely to be safe places for the plants with favorable light conditions, abundant fine particles to root down and reduced competition for resources. Yet,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in term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es is indeed a calcicole, whether other limiting factors work in its establishment stage, and genetic diversity exists in the population. 동강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식물이다. 희귀성과 화훼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최근 남획과 생육지 교란이 심각하다. 동강할미꽃의 보전과 자원 개발을 위해 세 가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분포지를 조사하며, 둘째, 기존 생육지의 입지환경과 식생을 분석하며, 셋째 동강할미꽃 미소생육지 별 형태와 개체군의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다. 삼척시, 정선군, 평창군 및 영월군에서 동강할미꽃이 자생하는 것을 재확인하였고,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새로운 분포지를 발견하였다. 이로써 남한에서 지리적 분포지는 강원도에서 확대되어 충북까지, 우리나라 석회암분포지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함으로써 이 종이 호석회성 식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분포하는 미소생육지의 87%가 바위틈이었다. 바위틈에서는 능선이나 사면에 비해 개체수는 적었으나, 유의하게 크기가 크고 꽃 수도 많으며 개화율이 높았다. 개체수가 적은 것은 바위지역에 잠재적 미소생육지 자체가 적기 때문일 것이다. 바위틈은 빛 조건이 좋고, 배수도 용이하며, 다른 종과의 경쟁도 피할 수 있으므로, 이 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생장하는 적지로 판단된다. 호석회성 식물 여부, 입지조건에 따른 발아와 정착에 대한 포장 실험 및 분포지와 미분포지의 교차이식실험 등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 또한 분포지가 석회암지역에 국한되므로 종 보전을 위해 개체군 보전의 위협요인과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 |
---|---|
ISSN: | 2288-1115 228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