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의 지역적 변이 -2008년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기관 인력을 중심으로
Proper education of hospice professionals is essential for ensuring quality of end-of-life care. In 2005, 'End-of-life Care Task Force Team'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ed '60 hours of hospice education' as basic requirement for hospice professionals. This study is...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guk Hosŭpʻisŭ Wanhwa Uiryo Hakhoe chi =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9, Vol.12 (3), p.132-13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Proper education of hospice professionals is essential for ensuring quality of end-of-life care. In 2005, 'End-of-life Care Task Force Team'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ed '60 hours of hospice education' as basic requirement for hospice professionals. This study is aimed to determine how many of the hospice professionals meet with the criteria an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46 hospice organizations, which submitted the application to the 2008 designation program of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Data included details of the educational records of each hospice professionals. Results: Total 673 hospice profession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verall, only 41.5% (279/673) met the requirement. Nurses (46.8%; 177/378) were more likely to meet the requirement than doctors (35.8%; 38/106), social workers (32.0%; 24/75) and clergies (35.1%; 40/114). Hospice professionals of the organizations in metropolitan area received more education than those in small cities or rural area (52.4% vs. 25.0% for doctors, 50.6% vs. 43.9% for nurses, 42.9% vs. 25.5% for social workers). By geographic areas, hospice professionals in southeast regions received less education than other part of Korea (28.1% vs. 43.0${\sim}$48.8%, respectively). Conclusion: Less than half of the Korean hospice professionals has received proper amount of hospice education, and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existed. National programs to promote the education of hospice professionals and eliminate its disparities are greatly warranted. Implementation of the 60-hour currirulum for hospice professionals, based on the train-the-trainer model, would be regarded as one potential solution. 목적: 말기 암환자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보건복지가족부 내 말기 암환자 TF 위원회에서는 2005년에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에게 필요한 기본조건으로서 60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을 받도록 제시한 바 있다. 이에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교육현황을 알아보고, 교육실태에 있어서 지역적인 변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8년 보건복지가족부가 실시한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에 지원한 호스피스기관 중 46개 기관의 전문인력 673명의 교육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673명 중에서 60시간 이상의 호스피스 완화 의료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279명(41.5%)이었다. 간호사 378명 중 60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177명(46.8%)이었으며, 의사는 106명 중 38명(35.8%), 사회복지사는 75명중 24명(32.0%), 성직자는 114명중 40명(35.1%)이었다.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경상도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중소도시에 소재한 기관의 전문인력은 대도시에 소재한 기관의 전문인력보다 60시간 이상 교육을 이수한 비율이 낮았다. 기관 종류에 따라서는 병원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이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60시간 이상 호스피스 완화의료 |
---|---|
ISSN: | 1229-1285 2287-6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