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1-12세 소아에서 Td 백신 추가접종의 면역원성과 안전성 평가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mmunogenicity and reactogenicity of Td booster immunization in early preadolescents of Korea. Methods : Healthy preadolescents, who had been vaccinated with 4 or 5 doses of DTaP vaccines until 6 years old a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Augu...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 Vol.51 (11), p.1185-1190
Hauptverfasser: 이수영, 곽가영, 목혜린, 김종현, 허재균, 이경일, 박준수, 마상혁, 김황민, 강진한, Lee, Soo Young, Kwak, Ga Young, Mok, Hye Rin, Kim, Jong Hyun, Hur, Jae Kyun, Lee, Kyung Il, Park, Joon Su, Ma, Sang Hyuk, Kim, Hwang Min, Kang, Jin Han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mmunogenicity and reactogenicity of Td booster immunization in early preadolescents of Korea. Methods : Healthy preadolescents, who had been vaccinated with 4 or 5 doses of DTaP vaccines until 6 years old ag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August 2006 to April 2007. Diphtheria and tetanus anti-toxoid antibodies in sera were measured by ELISA just before vaccination and 4 weeks after vaccination to evaluate immunogenicity. Local and systemic adverse reactions observed for 4 weeks after vaccination to access reactogenicity. Results : 183 preadolescents were enrolled and mean age was $11.40{\pm}0.51$ years old. All subjects achieved seroprotective diphtheria and tetanus anti-toxoid antibodies (titers ${\geq}0.1IU/mL$) after Td booster vaccination. Among 183 vaccinees, 73.8% showed local adverse reactions and 37.2% systemic adverse reactions. Pain at injection site (66.1%) was the most common local reaction, and the most commonly shown systemic reaction was myalgia (17.5%). The adverse reactions were spontaneously relieved within three days after vaccination. Conclusion : Td vaccine in this study was high immunogenic and showed an acceptable tolerance in Korean preadolescents. Td booster vaccination at 11-12 years old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compliance of the vaccination and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diphtheria and tetanus. 목 적: 11-12세 연령에 Td 백신 1차 추가접종을 하는 방법에 대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 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연구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Td 백신 접종을 받기 위해 내원한 11-12세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접종 전 및 접종 4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에 대한 항독소 항체가를 측정하였고 이상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 일지에 국소 및 전신 이상반응을 기록하였다. 결 과: 총 18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11.40{\pm}0.51$세이었다. Td 백신 접종 전후의 GMC는 디프테리아에 대해서는 10배, 파상풍에 대해서는 26배 이상 증가하였고, 접종 후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항체 양전율(항체가 ${\geq}0.1IU/mL$ 기준)은 100%이었다. 디프테리아의 접종 전 항체가가 0.1 IU/mL 이상인 피험자는 142명(77.6%)이었고 접종 후 항체가가 1.0 IU/mL 이상인 피험자는 174명(95.1%)이었다. 파상풍의 접종 전 항체가가 0.1 IU/mL 이상인 피험자는 146명(79.8%)이었고 접종 후 항체가가 1.0 IU/mL 이상인 피험자는 181명(98.9%)이었다. 접종 후 국소 이상반응이 73.8%, 전신 이상반응은 37.2%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3일 이내 소실되었다. 결 론: 매우 높은 면역원성과 심하지 않은 이상반응을 고려할 때, Td 백신의 접종을 11-12세 시행하는 것은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에 대한 가장 경제적인 방어 수단이며, 접종 순응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ISSN:1738-1061
2092-7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