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P-CRA 방법을 이용한 위암조직의 항암제 감수성 검사결과

Purpose: Recently, chemosensitivity tests have become widely used for the selection of effective drug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a chemosensitivity test was performed to select ag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Chemosensitivity tes...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Wiam Hakhoe chi 2007, Vol.7 (3), p.160-166
Hauptverfasser: 이제형, Lee, Je-Hy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Purpose: Recently, chemosensitivity tests have become widely used for the selection of effective drug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a chemosensitivity test was performed to select ag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Chemosensitivity testing was performed in 81 gastric cancer patients that received a gastrectomy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n ATP (adenosine triphosphate)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 was used. Clinicopatholgical factors such as sex, age, expression of tumor markers (CEA and CA19-9 levels), location of the tumor, morphology of advanced cancer, histological type, cell differentiation, depth of invasion, Lauren classification, Ming classification, lymphatic invasion, vascular invasion, neural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TNM stage were used to correlate the chemosensitivity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Results: The most effective antitumor agents in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in order of effectiveness) 5-FU, Epirubicin, lrinotecan and Oxaliplatin in our series. The chemosensitivity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al factors. Conclusion: Further studies on multidrug therapy are needed to evaluate synergistic effects of drugs. Therefore, for effective chemotherapy, it is more efficacious to select a chemosensitive drug than continue to use the same drug regimen. 목적: 진행성위암의 경우 근치적 수술 후 보조항암요법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기초로 한 항암요법은 최소한 환자들에게 효과가 없는 약제 투여를 막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항암요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유효약제 선정을 위하여 항암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항암제 선택에 이용하고자 임상병리학적 요인에 따른 항암제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병원 외과에서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 81명의 위암절제조직을 이용하여 항암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은 ATP (Adenosine Triphosphate) based chemotherapy response assay였다. 항암제 감수성과 임상병리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 종양표지자(CEA 치, CA19-9 치), 암의 위치, 진행암 형태, 조직학적 형태, 분화 유무, 침윤도, Lauren 분류, Ming 분류, 림프관 침윤 유무, 맥관 침윤 유무, 신경 침윤 유무, 림프절 전이 유무, 병리학적 병기를 선정 비교하였다. 결과: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항암제 감수성 순위를 보면 5-FU, Epirubicin, Irinotecan, Oxaliplatin 순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P=0.000). 성별, 연령, 종양표지자(CEA 치, CA19-9치), 암의 위치, 진행암 형태, 조직학적 형태, 분화 유무, 침윤도, Lauren 분류, Ming 분류, 림프관 침윤 유무, 맥관 침윤 유무, 신경 침윤 유무, 림프절 전이 유무, 병리학적 병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수성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위암절제조직에서 시행한 항암제 감수성 순위는 5-FU, Epirubicin, Irinotecan, Oxaliplatin의 순이었으며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의 절제조직을 이용 항암제 감수성검사를 시행한 결과 약제별 임상병리학적 인자에 따라 감수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획일적인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는 것보다
ISSN:1598-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