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 조사연구

노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는 총점 25점 만점에 16.46(±.436)점으로 65.8%의 정답율을 보였다. 지식정도를 3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볼 때 신체적 영역에 대한 총점은 8.27로 75.2%의 정답 율을 보였고 심리적 영역 총점은 3.85로 64.2%였으며 사회적 영역은 3.97로 49.6%로 신체적 영역에 대한 정답 율이 월등히 높았다. 가장 낮은 정답 율은 사회적 영역인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노인에게 낮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 한다‘였고. 가장 높은 정답 율을 보인 문항은 ‘65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은 노망이 난다’의 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동서간호학연구지 2007-06, Vol.13 (1), p.13-21
Hauptverfasser: 김귀분, Kwuy Bun Kim, 임정빈, Jung Bin Lim, 석소현, Sohyune R So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노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는 총점 25점 만점에 16.46(±.436)점으로 65.8%의 정답율을 보였다. 지식정도를 3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볼 때 신체적 영역에 대한 총점은 8.27로 75.2%의 정답 율을 보였고 심리적 영역 총점은 3.85로 64.2%였으며 사회적 영역은 3.97로 49.6%로 신체적 영역에 대한 정답 율이 월등히 높았다. 가장 낮은 정답 율은 사회적 영역인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노인에게 낮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 한다‘였고. 가장 높은 정답 율을 보인 문항은 ‘65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은 노망이 난다’의 신체적 영역에 대한 것이었다. 이는 국내 연구 결과들과 비교해보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이춘자(2003)의 연구에서는 일반 종합 병원 간호사의 정답율 51.2%, 노인 병원 간호사는 50.8%였고 송은주(2003)의 연구에서는 50.4%, 임영신(2002)의 연구에서는 50.4%의 정답 율을, 그리고 정진옥(1995)은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의사는 55.4%, 간호사는 52.5%의 정답 율을 보였으며 신체 영역의 지식정도가 월등히 높았다. 또한 FAQ 1을 개발한 Palmore(1998)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6편의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평균 60.0%였으며, 외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Sheffler(1995)의 연구에서 66%로, 본 연구결과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외국연구의 경우 지식정도가 높게 나타남은 이미 선진국은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 전문 간호사 제도의 활성화 및 노인 요양시설 내지 노인 전문병원이 거의 확충되어 있으며, 또한 고령화의 속도 역시 서서히 진행되어 노령화 사회 대비를 위한 지식적인 준비가 충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 역시 외국의 결과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지만 이전 국내 연구결과보다 한층 지식수준이 높아짐은 노인에 대한 관심과 준비가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보다 더 체계적이고 계속적인 노인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심리적 영역이나 사회적 영역의 지식 점수가 낮은 이유는 학부 과정이나 대부분의 임상 교육 과정에서 신체적-생리적 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노인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임상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간호사의 지 식정도 차이검정에서 연령은 35-40세 미만에서 평균17.54점으로 가장 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40, p= .020). 이는 김정윤(2004)의 연구에서도 36세 이상 간호사의 지식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서혜경(2003), 이윤미(2003)의 연구결과 역시 연령이 지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즉, 이는 30대 이상의 연령이 되면 어느 정도 임상에 익숙해지면서 지금까지 스스로 축적된 개인의 지적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지식정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 최종학력에서 3년제 졸업 간호사(M=15.37)보다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 간호사(M=17.50) 경우 지식정도가 더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0.89, p= .000). 이는 Palmore(1998)는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이 노화에 대한 지식과 관련 있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라 볼 수 있고, 김정윤(2004), 이춘자(2003), 이윤미(2003)의 다른 연구 결과에서도 대학원 졸업 간호사의 지식 정도가 높기는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즉 이 결과는 본 연구대상자들 중에 노인 전문 간호사 과정에서 노인관련 학습을 구체적으로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이 포함되어있어 지식정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경력에서는 5-10년 미만 간호사(M=17.09)가 10년 이상 간호사(M=16.67)나 5년 미만 간호사(M=15.33)보다 높은 지식정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66, p= .011). 이는 이춘자(2003), 김정윤(2004)의 연구에서는 총 임상경력이 10년 이상이 13.56으로 가장 높아 본 연구결과와는 약간 차이가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최희자(2002)의 연구에서는 5-10년의 임상경력 간호사의 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본 연구결과와 일치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전 연구 시 노인 전문 간호사과정이 없었고, 본 연구 시는 노인 전문 간호사 과정이 개설되어 연구대상자로 참여되었고 이들의 평균연령이나 근무경력이 주로 5-10년에 분포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근무 병원의 유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F=2.69 P= .008). 일반 종합 병원(M=17.24)이 노인요양 시설 및 전문 병원(M=15.95) 근무 간호사보다 지식정도가 높게 나왔다.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면
ISSN:1226-4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