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재래 마육의 등심부위와 볼기부위의 물리화학적 특성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loin and rump in the native horse meat from Jeju.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loin and rump, the result showed $72.2\%\;and\;73.8\%$ in moisture content $20.1\%\;and\;21.2\%$ in crude protein, $2.42\%\;and\;3.0...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005, Vol.25 (4), p.365-372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loin and rump in the native horse meat from Jeju. I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loin and rump, the result showed $72.2\%\;and\;73.8\%$ in moisture content $20.1\%\;and\;21.2\%$ in crude protein, $2.42\%\;and\;3.08\%$ in crude Int and $0.13\%\;and\;0.14\%$ in crude ash respectively. Glutamic acid was 3,275mg/100g and 3,577mg/100g in loin and rump each and it had highest result in amino acid analysis. K content was 388.0mg/100g which showed highest result in mineral analysis and next contents were P>Na>Mg>Ca. Oleic acid had highest result in fatty acid composition which were $62.64\%\;and\;63.77\%$ in loin and rump respectively. Cholesterol content of loin and rump were 43.25 and 43.57 mg/100g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part. pH of loin and rump were 5.60 and 5.75 which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Loin had Higher result than that of rum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C and springiness of texture analysis. Redness of rump was higher than that of loi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and odor. Loin had higher result than that of rump in the overall palatability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native horse meat from Jeju could be understood as good meat resources. 본 연구는 제주산 재래 마육의 등심 부위 및 볼기 부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 사용한 마육의 등심과 볼기 부위의 일반 성분은 수분 함량 72.2 및 $73.8\%$, 조단백질 20.1 및 $21.2\%$, 조지방 2.42 및 $3.08\%$ 그리고 조회분 0.13 및 $0.14\%$의 결과를 각각 보였다. 아미노산에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심 부위와 볼기 부위에서 각각 3,275 mg/100g과 3,572mg/100g 함량을 보였다. 무기질 함량에서는 K 함량이 388.0mg/100g으로 제일 높고, 그 다음으로 P>Na>Mg>Ca의 순이었다.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등심과 볼기 부위에서 각각 62.64와 $63.77\%$의 결과를 보였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등심 및 볼기 부위에서 각각 43.25와 43.57mg/100g으로 나타나서 부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를 측정한 결과, 등심과 볼기 부위에서 각각 5.60과 5.75의 결과를 보여, 부위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보수력은 볼기 부위가 등심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직감의 경우, springiness는 등심이 볼기보다 높았으나 다른 측정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색깔의 경우, 볼기의 적색도가 등심보다 높았으며 관능 검사 결과, 색깔과 이취에서 부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등심이 볼기 부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제주산 재래 마육은 식육자원으로 훌륭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최고값=0.03)이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반도 지역에 대해서 2001년 동안 총 36개로 구성된 정규화 지표반사도 값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p |
---|---|
ISSN: | 1225-8563 2234-246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