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공정 개발

도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감량 퇴비화 장치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폭 3m, 길이 21.36m, 높이 3.95m의 300㎥ 규모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 퇴비화 장치를 이용하여 1단계로 매일 각각 2㎥, 3.5㎥ 씩 49일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투입량에 따른 공정의 효용성과 공정중의 성분 변화 및 투입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감량율을 조사하였다. 장치내 퇴비단의 온도는 투입량에 관계없이 모두 평균 60℃ 이상 유지되었으며, 최종 생산퇴비의 수분함량은 각각 43.6%와 47.2였다. 최종 생산 퇴비의 pH는 각각 6.2,...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1999, Vol.18 (4), p.321-326
Hauptverfasser: 송오용, Oh Yong Song, 정광용, Kwang Yong Jung, 정준영, Jun Young Jeong, 양창옥, Chang Ok Y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도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감량 퇴비화 장치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폭 3m, 길이 21.36m, 높이 3.95m의 300㎥ 규모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 퇴비화 장치를 이용하여 1단계로 매일 각각 2㎥, 3.5㎥ 씩 49일간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투입량에 따른 공정의 효용성과 공정중의 성분 변화 및 투입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감량율을 조사하였다. 장치내 퇴비단의 온도는 투입량에 관계없이 모두 평균 60℃ 이상 유지되었으며, 최종 생산퇴비의 수분함량은 각각 43.6%와 47.2였다. 최종 생산 퇴비의 pH는 각각 6.2, 6.6이었고 유기물 함량은 각각 84.3%와 79.6%였다. K₂O, CaO과 NaCl등의 양이온은 투입 기간이 증가할수록 퇴비에 농축되었는데, 특히 최종 생산퇴비중 NaCl은 1단계 4.62%, 2단계 4.92%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1단계와 2단계의 최종 생산 퇴비의 Pb, Cu, Cr, Ni, Cd는 각각 37.82㎎/㎏, 56.87㎎/㎏, 9.8㎎/㎏. 22.21㎎/㎏, 3.69㎎/㎏과 44.55㎎/㎏, 95.54㎎/㎏, 12.22㎎/㎏, 24.94㎎/㎏, 3.86㎎/㎏로 조사되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 투입량에 따른 본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율은 초기에 투입한 Wood chip의 분해율을 고려할 경우 실제적인 음식물 쓰레기 부피기준 감량율은 1단계 78.8%, 2단계 77%로 98일간의 평균 77%의 우수한 감량효율을 나타내어 본 처리장치가 도시형 음식물 쓰레기 퇴비 장치로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produced compost and to analyse the change of a component during the reduction compost according to the input volume. The volume of pilot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about 300㎥. The pile of 2m width, 20m length and 1.2m height was constructed. Woodchip was used as bulking agent to enhance pore volume of composting bay and to control water content of food waste in starting time. Food waste was turned using a mechanical turner twice a day. The result are as follows : In these cases of input volume of 2㎥ and 3.5㎥, temperature of composting pile was maintained over 60℃ and water content was 43.6% and 47.2%, respectively. It was proved that microorganisms activity was maintained high in each input volume. After operation of step 1 and step 2, pH and organic matter in the final compost were 6.2, 6.6 and 84.3%, 79.6%, respectively. Cation concentration such as K₂O, CaO and NaCl was accumulated in the compost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NaCl concentration in the final compost was 4.62%, 4.92%, respectively. Hence, If was recommended that this compost should be applied to others expect agricultural area or mixed with a low concentration other compost. In the steps 1, input volume of 2㎥,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Pb, Cu, Cr, Ni. Cd were 37.82㎎/㎏, 56.87㎎/㎏, 9.8㎎/㎏. 22.21㎎/㎏ and 3.69㎎/㎏, and 44.55㎎/㎏, 95.54㎎/㎏, 12.22㎎/㎏, 24.94㎎/㎏, and 3.86㎎/㎏ in the step 2.
ISSN:1225-3537
2233-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