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기간 지하침투수에 의한 미사질양토 논의 화학성분 손실량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0.5㏊의 논에서 1997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험포장에 30, 50, 70, 90㎝ 간격으로 매설한 Ceramic porous cup에 침토된 침투수의 시기별 함량변화와 침투수에 의한 비료성분의 침투손실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의 pH는 6.64∼7.90, EC는 324∼647μS/㎝의 범위로 6월 중순경에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각각 0.58∼14.59㎎/L, 0.05∼4.25㎎/L 그리고 0.15∼7.71㎎/L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1998, Vol.17 (3), p.268-273
Hauptverfasser: 한강완, Kang Wan Han, 조재영, Jae Young Cho, 손재권, Jae Gwon Son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0.5㏊의 논에서 1997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험포장에 30, 50, 70, 90㎝ 간격으로 매설한 Ceramic porous cup에 침토된 침투수의 시기별 함량변화와 침투수에 의한 비료성분의 침투손실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의 pH는 6.64∼7.90, EC는 324∼647μS/㎝의 범위로 6월 중순경에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각각 0.58∼14.59㎎/L, 0.05∼4.25㎎/L 그리고 0.15∼7.71㎎/L의 범위로 기비후 이앙초기에 함량이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였다. 전인산은 0.009∼0.077㎎/L, 가용성인산은 0∼0.029㎎/L의 범위로 지표면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양이온성분은 Ca^(++) 0.88∼4.78㎎/L, Mg^(++) 0.22∼1.04㎎/L, Na^+ 0.17∼0.98㎎/L 그리고 K^+ 0.84∼3.19㎎/L의 범위로 모두 이앙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성분의 경우 SO₄^(2-)는 3.92∼18.72㎎/L의 범위로 시료 채취깊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는 9.03∼19.97㎎/L의 범위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0.5ha의 논에서 지하로 이동한 총침투수량은 483.3㎜로 조사되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침투손실량은 각각 20.34㎏/㏊, 3.54㎏/㏊, 10.44㎏/㏊로 나타났으며, 질산태질소가 암모니아태질소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전인산은 0.16㎏/㏊, 가용성인산은 0.028㎏/㏊로 나타났으며, 침투수를 통하여 시비된 요소비료의 9.35%에 해당하는 질소가 손실되었으며 인산의 경우 시비된 비료성분중 0.59%가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성분은 Ca^(++) 10.24㎏/㏊, Mg^(++) 2.84㎏/㏊, Na^+ 2.84㎏/㏊ 그리고 K^+ 7.22㎏/㏊로 나타났으며, Ca^(++)$gt;K^+$gt;Na^+=Mg^(++)의 순이었다. 음이온성분은 SO₄^(2-) 50.04㎏/㏊, Cl^- 62.20㎏/㏊로 나타나 Cl^- 이온이 SO₄^(2-) 이온보다 더 지하로의 이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 and losses of chemical fertilizer by infiltration water from 0.5ha of paddy field in Chinan area of Chonbuk province during the rice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The infiltration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a ceramic porous cup which was a buried at the 30, 50, 70, 90㎝ of soil depth. pH of infiltration water ranged 6.64∼7.90 and EC showed 324∼647μS/㎝. The content of total-N, NH₄-N and NO₃-N were 0.58∼14.59, 0.05∼4.25, and 0.15∼7.71㎎/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P and ortho-P were 0.009∼0.077㎎/L and 0∼0.029㎎/L. The content of Ca^(++), Mg^(++), Na^+ and K^+ showed 0.88∼4.78, 0.22∼1.04, 0.17∼0.98, and 0.84∼3.19㎎/L. These all at the first transplanting are higher than that of other periods. The content of SO₄^(2-) showed 3.92∼18.72㎎/L and decreased with a soil depth. However Cl^- of infiltration water ranged 9.03∼19.97㎎/L and no difference with a soil depth. When infiltrated 2,416.5㎥ of an infiltration water from 0.5ha of paddy fiel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losses of chemical components were 20.34㎏/㏊ of total-N, 3.54㎏/㏊ of NH₄-N, 10.44㎏/㏊ of NO₃-N, 0.16㎏/㏊ of total-P and 0.028㎏/㏊ of ortho-P. Also Ca^(++), Mg^(++), Na^+, K^+, SO₄^(2-) and Cl^- were lost 10.24, 2.84, 2.84, 7.22, 50.04 and 62.20㎏/㏊ respectively. There were lost by infiltration water 9.35% of nitrogen, 0.59% of phosphorous and 22.79% of pota
ISSN:1225-3537
2233-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