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오수처리시설에서 영양물질의 변화와 대장균군의 행동

농어촌 지역의 오폐수처리에 적용 가능한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처리시설에서 오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염류와 대장균의 변화상항을 생활오수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입수의 NH₄^+ 농도는 91.57㎎/ℓ∼275.88㎎/ℓ이었는데, 습지를 통과한 처리수의 농도는 62㎎/ℓ∼180.92㎎/ℓ로 낮아져 평균 약 4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NH₄^+의 감소는 휘발, 식물에의 흡수, 토양입자에의 흡착, 그리고 질산화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NO₂^-는 유입수의 농도보다 유출수의 농도가 낮은 경우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1997, Vol.16 (3), p.249-254
Hauptverfasser: 윤춘경, 권순국, 김형중, Chun Gyeong Yoon, Soon Kuk Kwun, Hyung Joo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농어촌 지역의 오폐수처리에 적용 가능한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처리시설에서 오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염류와 대장균의 변화상항을 생활오수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입수의 NH₄^+ 농도는 91.57㎎/ℓ∼275.88㎎/ℓ이었는데, 습지를 통과한 처리수의 농도는 62㎎/ℓ∼180.92㎎/ℓ로 낮아져 평균 약 4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NH₄^+의 감소는 휘발, 식물에의 흡수, 토양입자에의 흡착, 그리고 질산화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NO₂^-는 유입수의 농도보다 유출수의 농도가 낮은 경우도 있었으나 높은 경우도 많아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유는 NH₄^+가 NO₂^-를 거쳐 NO₃^-로 질산화되는 과정에서 유입수의 특성에 따른 질산화과정의 속도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NO₃^-의 경우는 유입수의 농도보다 처리수의 농도가 모두 증가하였는데, 이는 NH₄^+로 유입된 성분이나 처리조내의 NO₂^-등이 NO₃^-로 질산화되어 농도가 증가하였고, NO₃^-는 토양입자에의 흡착율도 낮고, 처리조각 혐기성상태가 아니어서 탈질화작용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Total-N 측면에서 분석해보면 NH₄^+가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대부분 NO₂^-를 거쳐 NO₃^-로 변환되었을 뿐이고 제거된 것이 아니므로, 제거율은 5% 정도로 매우 낮았다. 처리조에서 질소성분이 혐기성상태에 의한 탈질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처리조가 호기성을 유지하여 BOD 등의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질소제거기능의 부족으로 인하여 수질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보완성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5. PO₄^(3-)의 경우 오수는 평균 92%의 매우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Total-P도 87%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 습지처리가 인의 제거에는 탁월한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유는 인의 토양에 대한 강한 흡착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6. 대장균군의 경우 유입원수의 농도가 1,600,000/100㎖까지로 높았으나, 평균 약 83%의 비교적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제거기능은 토양에의 흡착 그리고 토양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미생물군과의 경쟁에서 져서 죽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which is applicable to rural wastewater treatment was examined by pilot plant experiment. Removal rates of nutrients including nitrogen and phosphorus and total coliform were evaluated. The NH₄^+ concentration of the influent was in the range of 91.57 to 275.88㎖/ℓ and the effluent concentration was about 40% lower than the influent. The decreasing of the NH₄^+ concentration might be due to volatilization, plant uptake, adsorption onto soil particles, and mainly nitrification. However, generally concentrations of NO₂^- and NO₃^- were increased in the effluents compared to the influent concentrations, which implies that nitrogen components in the system were nitrified. Overall, the average removal rate of the nitrogen was about 5% which seems inadequate as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this system needs improvement on nitrogen removal mechamism. The removal rate of the phosphorus was quite high and effluent concentration was very low. Reason for high removal rate of the phosphorus might be mainly strong adsorption characteristic onto soil particles. The average removal rate of the total coliforms was about 83%, and main removal mechanisms are thought to be adsorption onto soil and inability to compete against the established soil microflora.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needs t
ISSN:1225-3537
2233-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