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요로 결석에 관한 연구
Even though the urinary stones are rare in children, careful observation and monitoring are necessary because the incidence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s aimed to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s in children including the symptoms, diagnosis, with or without urinary tract infectio...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7, Vol.1 (1), p.60-66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Even though the urinary stones are rare in children, careful observation and monitoring are necessary because the incidence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s aimed to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s in children including the symptoms, diagnosis, with or without urinary tract infection, other urinary tract anomaly and treatment. 45 patients under the age of 15 years with urinary stones hospitalized during Jan. 1986 to Jun. 1996 at Severance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Patients' mean age was 6.5 years and sex ratio (male : female) was 5.4:1. The most common symptom was gross hematuria. Stones accompani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was 46.7%, and stones associated with urinary tract anomaly was 35.6%.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percutaneous nephrolithotorny, hydration and diuretics were the treatment modality used. Urinary stone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cause of urinary tract obstruction in children, requiring prompt diagnosis and treatment. Although KUB, IVP, and ultrasonography were commonly used to make the diagnosis, many cases were detected only by ultrasonographic study. 목적 : 요로 결석은 소아에서는 비교적 드물다고 하나,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유발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보다 빨리 진단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로 결석 환아들의 주증상, 진단, 감염및 동반 질환 여부, 치료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 10년 5개월간 세브란스 병원에 내원한 15세 미만의 요로 결석환아 4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 요로 결석 환아의 평균 연령은 6.5세, 남녀비는 5.4:1이었고, 가족력은 13.3%에서 나타났다. 주증상은 육안적 혈뇨가 가장 많았고, 요로 감염을 동반한 환아 46.1%,요로 기형 및 질환을 동반한 환아가 35.6%에서 나타났다. 진단 방법으로는 단순 요로 촬영, 경정맥 신우 조영술, 복부 초음파 등이 사용되었는데, 초음파만으로 진단받은 경우도 다수 있어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치료로는 체외 충격파 쇄석술, 경피적 신결석 적출술, 수액 요법, 이뇨제등이 사용되었다. 결론 : 소아 요로결석에 대해 관찰한 결과, 유의할 만한 질환으로 생각되며, 요로 폐색이 있는 환아에서는 시급한 치료가 요구된다. 특히 단순 방사선 촬영및 경정맥 신우 조영술에서 발견되지 않은 환아에서는 반드시 초음파를 하여 진단해야 할 것이다. 한편, 결석의 성분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소 아쉬운 점이 남는다. |
---|---|
ISSN: | 1226-5292 2234-4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