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의 실험적(實驗的) 간경변(肝硬變)에 대(對)한 효과(效果)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anticirrhotic effects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on the liver cirrhosis or fibrosis induced by prolonged bile duct ligation; a new experimental model for cirrhosis and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in the rat. The...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大韓韓醫學會誌 1997, Vol.18 (1), p.480-498
Hauptverfasser: 박용권, 김강산, 강병기, 전병훈, Park, Young-Kweon, Kim, Kang-San, Kang, Byung-Ki, Jeon, Byung-Hun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nd anticirrhotic effects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on the liver cirrhosis or fibrosis induced by prolonged bile duct ligation; a new experimental model for cirrhosis and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in the rat. The development of fibrosis or cirrhosis and its inhibition by the two prescriptions were examined by the chemical analysis of AST, ALT, and hydroxyproli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increase of serum asparate aminotransferase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extract. 2. The increase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extract. 3. The increased level of serum AST and AL T induced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dimethylnitrosamine was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extract. 4. The increasing level of hydroxyproline volume in the damaged liver tissues in the rat was decreased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Mockhyangjokisan and Haewooljoweetang extrac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hibition rat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간경변(肝硬變)은 간장손상(肝腸損傷)을 주로 나타내는 만성(慢性) 전신성(全身性) 질환(疾患)이다. 이것은 각종 병인(病因)이 지속적(持續的) 또는 반복적(反復的)으로 간조직(肝組織)에 작용하여 간세포(肝細胞)의 변성(變成) 괴사(壞死) 섬유성(纖維性) 조직(組織) 증식(增殖) 등의 병리변화(病理變化)를 일으켜 결국 간조직(肝組織)의 정상구조(正常構造)가 변하여 간(肝)의 형태이상(形態異常)과 경화(硬化)를 유발하는 것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간경변(肝硬變)의 단계에 따라 표현이 다른데 협통(脇痛), 복창(腹脹), 황달(黃疸), 적취(積聚), 창(脹), 단복창(單腹脹), 수(水), 석수(石水), 간수(肝水)의 범주(範疇)에 해당된다. 울증(鬱症)은 정지부서(情志不舒), 기기울결(氣機鬱結)로 울체(鬱滯)하고 발월(發越)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병증(病症)으로, 기울(氣鬱)은 기체혈어성(氣滯血瘀性) 병변(病變)인 적취(積聚)의 전단계(前段階)로 설명되고, 간경변(肝硬變)의 초기상태(初期狀態)에서 나타나는 증상(症狀)들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本) 연구(硏究)에 사용된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은 기울(氣鬱)에 적용되는 처방(處方)으로서 초기(初期) 간경변(肝硬變)의 섬유화(纖維化) 진행억제(進行抑制)에도 유효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담도결찰술(膽道結紮術) 및 Dimethylnitrosamine으로 만성간염(慢性肝炎) 및 간경변증(肝硬變症)을 유발한 후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혈청(血淸) total bilirubin과 direct bilirubin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의 투여로 모두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두 처방(處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혈청(血淸) AST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두 실험군(實驗群) 모두에서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을 투여한 실험군(實驗群)에서 억제되는 보다 나았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담도결찰(膽道結紮)로 인한 血淸 ALT의 상승은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과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을 투여한 두 실험군(實驗群) 모두에서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의 억제효과가 해울조위탕
ISSN:1010-0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