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 경운방법이 년차간 벼수량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논토양에서 경운방법과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화성벼를 5년간 동일포장에서 재배했을 때 벼수량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종별 경운효율은 경운기 로타리구가 74.8%로서 제일 높고 트랙타 경운구가 59.0%로서 가장 낮았다. 2. 벼 이앙후 무경운구의 감수심이 가장 많았으며 벼 생육중기보다는 생육초기에서 많았다. 3. 벼 수량은 무경운 관행시비에 비해 경운기 로타리 농토배양시비구가 가장 많은 17%가 증수되었고 경운처리를 하므로서 벼수량은 6∼17% 증수되었다. 연차간에는 2연차에서 수량이 가장 많았고 4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6-02, Vol.41 (1), p.109-114
Hauptverfasser: 허봉구, 윤봉기, 최관순, Bong Koo Hur, Bong Ki Yun, Kwan Soon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논토양에서 경운방법과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화성벼를 5년간 동일포장에서 재배했을 때 벼수량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종별 경운효율은 경운기 로타리구가 74.8%로서 제일 높고 트랙타 경운구가 59.0%로서 가장 낮았다. 2. 벼 이앙후 무경운구의 감수심이 가장 많았으며 벼 생육중기보다는 생육초기에서 많았다. 3. 벼 수량은 무경운 관행시비에 비해 경운기 로타리 농토배양시비구가 가장 많은 17%가 증수되었고 경운처리를 하므로서 벼수량은 6∼17% 증수되었다. 연차간에는 2연차에서 수량이 가장 많았고 4년차에서 가장 낮았다. 4. 경운하지 않은 무경운구의 용적밀도와 고상률이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nual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roperties. Hwaseongbyeo was cultivated by different tillage methods and fertilizer levels for 5 years in the paddy soil. Tilth efficiency of power tiller(PT) rotary plot was higher by 74.8%, but that of tractor tillage plot was lower by 59.0%. Water requirement in depth of no-tillage plots after rice transplanting was highest and also those of the early growing stage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middle growing stage. Rice yield of PT rotary plot by recommended fertilizer application was increased by 17% than that of no-tillage plot by conventional fertilizer application. By the rotary of PT and tractor, rice yield increased by 6-17% than those of no-tillage. In case of cultivating years, rice yield of 2nd year was highest, but that of 4th year was lowest. Soil bulk density and solid phase of no-tillage plot which took not tillage were highest than the other plots. The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all treatments had not definite tendency.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