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대표 토양에서 Alachlor 와 Chlorothalonil 의 흡착과 이동 연구

본 연구는 제주도 경작지에 분포되어 있는 3개 토양군의 대표토양인 혹색 화산회토 남원통, 농암갈색 화산회토 제주통 및 암갈색 비화산회토 무릉통의 alachlor와 chlorothalonil의 흡착과 이동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원통은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치환용량이 매우 높은 토양이며, 무릉통은 매우 낮은 토양이었다. 흡착특성은 Linear 및 Freundlich 등온흡착식과 잘 일치하였다. 남원통에서 alachlor의 K 값은 21.38로서 제주통 및 무룽통에 비하여 5.4배 및 97.2배 높았으며, chlorotha...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guk hwangyeong nonghak hoeji 1995, Vol.14 (2), p.135-143
Hauptverfasser: 현해남, 오상실, 유순호, Hae Nam Hyun, Sang Sil Oh, Sun Ho Yoo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제주도 경작지에 분포되어 있는 3개 토양군의 대표토양인 혹색 화산회토 남원통, 농암갈색 화산회토 제주통 및 암갈색 비화산회토 무릉통의 alachlor와 chlorothalonil의 흡착과 이동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남원통은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치환용량이 매우 높은 토양이며, 무릉통은 매우 낮은 토양이었다. 흡착특성은 Linear 및 Freundlich 등온흡착식과 잘 일치하였다. 남원통에서 alachlor의 K 값은 21.38로서 제주통 및 무룽통에 비하여 5.4배 및 97.2배 높았으며, chlorothalonil의 K 값도 alachlor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alachlor에 비하여 현저히 컸다. 각각 10.25 ㎎/ℓ의 alachlor와 1.50 ㎎/ℓ의 chlorothalonil 용액을 토주에 흘려보냈을 때, 무릉통, 제주통 및 남원통의 토주에서 alachlor는 0.265 PV, 0.47 PV 및 1.86 PV이 유출되었을 때 처음 검출되었으며, chlorothalonil은 3.71 PV, 4.7 PV 및 17.5 PV에서 처음 검출되었다. 무릉통, 제주통 및 남원통의 토주를 통과한 alachlor의 상대농도 C/C_o=1로 유출되는 양은 각각 1.1 PV, 3.7 PV 및 6.6 PV이었으며, chlorothalonil의 상대농도 C/C_o=0.2로 유출되는 양은 7.5 PV, 8.5 PV 및 27.5 PV로서 토양별 이동속도는 무릉통>제주통≫남원통이었다. 유출액중에 alachlor 및 chlorothalonil의 상대농도 C/C_o=0.5 및 C/C_o=0.05가 검출되는데 소요된 유출액의 양과 분배계수값 사이에는 매우 높은 유의성을 갖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coefficients, and movement of alachlor(2-chloro-2`, 6`-dim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 and chlorothalonil(tetrachloroisophthalonitrile) for the 3 soils sampled from major soil groups in Cheju Island. Namwon, Jeju, and Mureng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black volcanic ash soil, dark brown volcanic ash soil and dark brown nonvolcanic soil, respectively. Organic carbon content and CEC of Namwon soil were very high and those of Mureung soil were very low. Linear and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s were the best to fit the adsorption of alachlor and chlorothalonil in the soils. K value, Freundlich coefficient, of alachlor for Namwon soil was 21.38, being 5.4 and 97.2 times higher than that for Jeju and Mureung soils respectively. The values of chlorothalonil for the soils were similar to those of alachlor but were much higher than them. When Mureung, Jeju and Namwon soil columns were leach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10.25 ㎎/ℓ of alachlor and 1.50 ㎎/ℓ of chlorothalonil, alachlor was first detected at 0.265, 0,47, and 1.86 pore volume (PV) and chlorothalonil was 3.71, 4.7 and 17.5 PV, respectively. The pore volumes at C/C_o=1 of alachlor in the leachates from Mureung, Jeju and Namwon soil columns were 1.1, 3.7 and 6.6 PV and those at C/C_o=0.2 of chlorothalonil were 7.5, 8.5 and 27.5,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deceasing order of the mobility of the chemicals in soils was Mureung soil>Jeju soil》Namwon soil. The pore volumes detecting C/C_o=0.5 of alachlor and C/C_o=0.05 of chlorothalonil in leachate were positively cor
ISSN:1225-3537
2233-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