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보리의 재배양식을 협폭파, 드릴파, 휴립광산파의 3양식으로 하여 이들 재배양식별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드릴파 > 협폭파 > 휴립광산파의 순위였으나 m2 당 입모본수는 휴립광산파가 334본/m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협폭파, 드릴파의 순이었다. 2. 유효개화한 분얼은 3재배양식 모두 주간, 1차분얼의 1, 2 이고 2차분얼의 11은 휴립광산파에서만 유효경화하였다. 얼자별 유효경율은 주간은 3처리 모두 100%이나 1차분얼의 1과 2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5-10, Vol.40 (5), p.548-555
Hauptverfasser: 신만균, 栗原浩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보리의 재배양식을 협폭파, 드릴파, 휴립광산파의 3양식으로 하여 이들 재배양식별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드릴파 > 협폭파 > 휴립광산파의 순위였으나 m2 당 입모본수는 휴립광산파가 334본/m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협폭파, 드릴파의 순이었다. 2. 유효개화한 분얼은 3재배양식 모두 주간, 1차분얼의 1, 2 이고 2차분얼의 11은 휴립광산파에서만 유효경화하였다. 얼자별 유효경율은 주간은 3처리 모두 100%이나 1차분얼의 1과 2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많았다. 3. 평균1수 영화수는 드릴파가 39.5립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고 얼자별로는 주간 > 1 > 2 > 11이었다. 1수 임실율은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높았다. 4. 평균1수임실립수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이었고 평균 1수 완성립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천립중은 재배양식 또는 분얼경간에 크게 차이가 없었다. 5. 1수당 자실량은 드릴파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으며 분얼시험의 m 당 자실량은 협폭파 679.8g에 비하여 드릴파 874.7g, 휴립광산파 794.3g로 각각 29%와 17%가 증수되었다. 6. 실제평예조사시험의 유효경율은 46.2~54.1%로, 드릴파재배구가 가장 높았고 협폭파재배구에서 가장 낮았다. 7. 평예조사자실중은 협폭파 567.6kg에 비하여 드릴파 31%, 휴립광산파 15%가 각각 증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method.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s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Honam Crops Experiment Station of Iri, Korea from October 1986 to July 1987. Narrow-seeding (each row placement 40cm~times seeding width of each row 18cm), drill-seeding (20cm~times 5cm) and broadcasting on wide ridge (each ridge placement 120cm~times ridge width 90cm)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sowing methods. Primary tillers such as mainstem, 1 and 2 produced ears in all treatments, but the ear from a secondary tiller of 11 was observed only in broadcasting on wide ridge. Drill-seeding was the highest in number of spikelet, grain and plump grain per ear, while narrow-seeding being the lowest. The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was 679.8g in narrow-seeding, while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produced more than narrow seeding by 28.7% and 16.8% respectively. The actual yields per l0a for sowing methods showed a similar pattern to plump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in which the yield was 567.6kg by narrow-seeding and the increments of drill-seeding and broadcasting were 30.6% and 15.4%, respectively.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