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학교의 학교 체육 연구 동향 분석

[목적] 연구의 목적은 1992년부터 현재까지 소규모 학교에서 수행된 학교 체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 후 연구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소규모 학교’, ‘복식’, ‘농어촌’, ‘체육’, ‘스포츠’라는 키워드를 활용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22편을 수집하였다. 연구 주제, 주제어,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Excel에 수집 후 시기별 빈도를 분석하고 워드 클라우드 프로그램을 활용해 시기별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러한 과정으로 연구 주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h'eyuk kwahak yŏn'gu 2023-09, Vol.34 (3), p.534
Hauptverfasser: 이학균, Hakgyun Lee, 정현수, Hyunsoo J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연구의 목적은 1992년부터 현재까지 소규모 학교에서 수행된 학교 체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 후 연구의 방향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소규모 학교’, ‘복식’, ‘농어촌’, ‘체육’, ‘스포츠’라는 키워드를 활용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22편을 수집하였다. 연구 주제, 주제어,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Excel에 수집 후 시기별 빈도를 분석하고 워드 클라우드 프로그램을 활용해 시기별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러한 과정으로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지역의 세 영역으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주제적 측면에서 현직·예비교사에 관한 연구보다는 교수학습 적용 및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연구 방법은 2000년대를 기점으로 양적연구에서 질적연구 중심으로 변화했지만, 수행된 질적연구의 방식은 다양하게 수행되지 못했다. 셋째, 연구 지역은 연구 대상과 연구자 소속 지역으로 나누어 확인했는데 경상도와 강원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 대상 및 연구자 지역은 경상도와 강원도가, 연구자는 경북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결론] 소규모 학교 및 학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는 소규모 학교에서 학교 체육을 대상으로 한 연구 수행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더불어 향후 소규모 학교에서의 신체활동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physical education within small schools from 1992 to the present, offering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domain.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gathered data from 22 domestic journals utilizing keywords such as “small school,” “combined class,” “farming and fishing villag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 encompassing topics, keywords, methods, subjects, and research areas, were organized using Excel. We employed the Word-Cloud program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by period and subject words by period. RESULTS Trends in physical education within small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rimary aspects: subject, method, and research area. Firstly, concerning research topics, the predominant focus centered 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he curriculum management, with less emphasis on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Secondly, research methods shifted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pproaches starting in the 2000s. However, the util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isplayed limited diversity. Lastly, we analyzed the research area by classifying it into the region where the research subject is situated and the region to which the researcher belongs. The Gyeongsang and Gangwon regions constituted the majority in both categories, with over half of the researchers hailing from Gyeongbuk.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growing necessity for research into physical activity within small schools, given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such institutions. It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in the realm of physical activity within small schools.
ISSN:1598-2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