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라이프스킬 리더 역량 강화 프로그램 적용 사례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리더에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리더 4명(남자=2, 여자= 2, M age =37.5)이었다. 이들은 이해(리더 세미나)·적용(스포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운영·평가 단계(리더 자기성찰)로 구성된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8회기 동안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매회기 PQA (program quality assessment)를 이용해 자기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정량적·정성적 자료를 수집했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eyuk kwahak yŏn'gu 2022-12, Vol.33 (4), p.562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리더에게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스포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리더 4명(남자=2, 여자= 2, M age =37.5)이었다. 이들은 이해(리더 세미나)·적용(스포츠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운영·평가 단계(리더 자기성찰)로 구성된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8회기 동안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매회기 PQA (program quality assessment)를 이용해 자기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정량적·정성적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정성적 자료는 사례 간 분석(cross-case analysis)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정량적 자료는 대응 t-test를 실시한 후 효과 크기를 산출했다.
[결과] 스포츠 라이프스킬 리더들이 보고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은 리더들의 역량이 강화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대응 t-test에서는 PQA 하위요인 중 통합적 노력을 제외한 신체·심리적 안전, 적절한 구조, 지지적 관계, 소속감 제공, 효능감 개발 기회 제공, 라이프스킬 개발 기회 제공의 효과 크기는 모두 유의하였고 ‘매우 큰 효과’로 나타났다.
[결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은 리더들의 라이프스킬 지도역량을 강화하는 데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학생 선수들이 라이프스킬을 개발하고 삶으로 전이하기 위해서는 먼저 리더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pply a capacity building program to sport life skill leaders and to provide cases of this proces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four leaders (male=2, female= 2, M age =37.5) who were managing a sport life skills program at a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a capacity build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understanding (leader seminar), (b) application (managing the sport life skills program), and (c) evaluation (leader’s self-reflection), which were conducted in eight sessions. Four leaders conducted self-evaluations using program quality assessment (PQA) during every session,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derived using a cross-case analysis, and quantitative data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effect size after performing the paired t-test. RESULTS Analyzing the reported cases of sport life skill leaders, the use value of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 was identified. Furthermore, the cases reported by the four leaders enabled observation of how the leader’s capabilities were strengthened. In the paired t-test, the effect siz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appropriate structure, supportive relationship, opportunities to belong, support for efficacy mattering, opportunities for life skill building, excluding integration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effort, were all significant. All effect sizes were found to have “very large effects.” CONCLUSIONS The capacity building program played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the leaders’ life skill coaching capabilities.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chiefly,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leaders’ or coaches’ capabilities in order to foster life skill developme |
---|---|
ISSN: | 1598-2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