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주 간의 비대면 요가가 신체조성, 근활성도, 유연성 및 균형감각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8주 간의 비대면 요가가 신체조성, 근활성도, 유연성, 균형감각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총 22명의 성인 남녀(남자 7명, 여자 15명)를 대상으로 8주 간 요가 트레이닝을 수행한 처치군(Treatment Group, TG, N=11),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통제군(Control Group, CG, N=11)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8주 간 요 가 트레이닝을 진행한 후 트레이닝 전·후의 신체조성, 체전굴 및 체후굴 동작 수행 시의 근활성도, 좌전굴 및 체후굴 동작 수행 시의 유연성...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h'eyuk kwahak yŏn'gu 2022-09, Vol.33 (3), p.34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eng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본 연구는 8주 간의 비대면 요가가 신체조성, 근활성도, 유연성, 균형감각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총 22명의 성인 남녀(남자 7명, 여자 15명)를 대상으로 8주 간 요가 트레이닝을 수행한 처치군(Treatment Group, TG, N=11),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통제군(Control Group, CG, N=11)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8주 간 요 가 트레이닝을 진행한 후 트레이닝 전·후의 신체조성, 체전굴 및 체후굴 동작 수행 시의 근활성도, 좌전굴 및 체후굴 동작 수행 시의 유연성 및 제자리 한발 서기 동작 수행 시의 균형감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처치군과 통제 군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 t-test를 시행하였고, 그룹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반복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유의수준은 p |
---|---|
ISSN: | 1598-2920 2233-7938 |
DOI: | 10.24985/kjss.2022.33.3.3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