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적용이 필수적인가?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 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이와 함께 해부학적 금속판의 발달과 고정력 향상으로 최근에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 대해서도 금속판으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적용되는 위 두 술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22-07, Vol.35 (3), p.9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Mayo 2A형 주두 골절)에 대해 골절부의 인장력을 압박력으로 변화시키는 원리로 장력대 강선 고정술이 주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하지만 장력대 강선 고정술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이와 함께 해부학적 금속판의 발달과 고정력 향상으로 최근에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 대해서도 금속판으로 고정술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적용되는 위 두 술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 정형외과에서 주두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Mayo 분류 2A형에 해당하는 5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장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9명,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는 24명이었으며, 평균 외래 추시기간은 10개월이었다. 방사선적 분석으로 골절의 유합 시기, 최종 추시상 외상성 관절염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고, 임상적으로는 수술 시간, 관절의 안정성 유지, 최종 추시에서 주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score, 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 술식 수술군 모두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골유합까지의 평균 소요 기간은 장력대 강선고정술에서는 10.3주,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11.5주였다. 수술 시간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46.3분,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52.0분이었으며,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주관절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주관절의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42° (범위 3°-145°),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5° (범위 4°-139°)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9). 평균 MEPS는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98.2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97.7점으로 두 술식군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75). 평균 DASH score 역시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 10.7점, 금속판 내고정술에서 13.9점으로 이 역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9). 술 후 내고정물 제거술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에서는 66%, 금속판 내고정술에서는 75%에서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은 장력대 강선 고정술 후 핀 후방 전위 1예, 이소성골화증 1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비교한 결과 두 군간 유의한 결과 차이 없이 좋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주두의 비분쇄 전위 횡골절에서 장력대 강선 고정술 및 금속판 고정술 모두 추천할 만한 술식으로 증례에 따라, 또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Various problems have been reported with tension-band wire (TBW) fix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atomical plates and the improvement of fixation forces, plate fixation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for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yo Type 2A). This study compared the usefulness of the above two procedures applied in non-comminuted, displaced, transverse olecran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three patients with Mayo Type 2A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wenty-nine patients underwent TBW fixation, while the other 24 underwent plate fixation. The average outpatient follow-up period was 10 months for both groups. Both groups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The radiological assessment included the time to bone union, joint stability, and presence of traumatic osteoarthritis at the final follow-up. The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the operation time,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