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진정내시경 임상진료지침

진정은 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의 불안감과 공포를 줄여줄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진정내시경 검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최적의 진정이란 환자가 주관적으로 편안하게 느끼는 상태에서 기도 확보가 되어 자발적 호흡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환자는 의식이 있어 의료진과 협조가 이루어지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진정내시경은 심폐우발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폐우발증은 일시적으로 발생하고 대부분 후유증 없이 회복된다. 그러나, 심혈관계 허탈과 같은 심각한 우발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진정 전 고위험군의 환자를 선별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22-04, Vol.79 (4), p.141
Hauptverfasser: 박홍준, Hong Jun Park, 김병욱, Byung-wook Kim, 이준규, Jun Kyu Lee, 박예현, Yehyun Park, 박진명, Jin Myung Park, 배준용, Jun Yong Bae, 서승영, Seung Young Seo, 이재민, Jae Min Lee, 이지현, Jee Hyun Lee, 전형구, Hyung Ku Chon, 정준원, Jun-won Chung, 최현호, Hyun Ho Choi, 김명하, Myung Ha Kim, 박동아, Dong Ah Park, 정재흥, Jae Hung Jung, 조주영, Joo Young C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진정은 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의 불안감과 공포를 줄여줄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진정내시경 검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최적의 진정이란 환자가 주관적으로 편안하게 느끼는 상태에서 기도 확보가 되어 자발적 호흡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환자는 의식이 있어 의료진과 협조가 이루어지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진정내시경은 심폐우발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폐우발증은 일시적으로 발생하고 대부분 후유증 없이 회복된다. 그러나, 심혈관계 허탈과 같은 심각한 우발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따라서 진정 전 고위험군의 환자를 선별하고 세심한 환자 감시로 우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임상 의사는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준비가 잘 되어 있어야 한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는 다른 나라의 진정내시경과 관련된 임상진료지침을 수용-개작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진정 내시경 임상진료지침을 마련하게 되었다. 본 임상진료지침은 현재까지 나와 있는 자료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와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하여 9개의 권고안으로 구성하였다. 본 임상진료지침은 임상 의사와 간호사, 의과대학 학생, 정책 결정자들이 진정내시경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Sedation can resolve anxiety and fear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y. The use of sedatives has increased in Korea. Appropriate sedation is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feels subjectively comfortable while maintaining the airway reflex for stable spontaneous breathing. The patient should maintain a state of consciousness to the extent that he or she can cooperate with the needs of the medical staff. Despite its benefits, endoscopic sed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Cardiopulmonary complications are usually temporary. Most patients recover without sequelae. However, they may progress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collaps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creen high-risk patients before sedation and reduce complications by meticulous monitoring. Additionally, physicians should be familiar with the management of emergencies. The first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endoscopic sedation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worldwide guidelines for endoscopic sedation using an adaptation process. The guideline consists of nine recommendations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currently available data and expert consensus when the guideline was drafted. These guidelines should provide clinicians, nurses, medical school students, and policy makers with information on how to perform endoscopic sedation with minimal risk. (Korean J Gastroenterol 2022;79:141-155)
ISSN:1598-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