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목적: 족무지의 관절 내 골절은 조기 관절염이나 불안정성, 무혈성 괴사, 무지 외반증 및 지절간 무지 외반증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소아의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골절에 대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예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술전 X선 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골절 양상과 동반 병변을 확인하였다. 관혈적 정복 및 다발성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20-01, Vol.33 (1), p.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족무지의 관절 내 골절은 조기 관절염이나 불안정성, 무혈성 괴사, 무지 외반증 및 지절간 무지 외반증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는 소아의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골절에 대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5예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술전 X선 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골절 양상과 동반 병변을 확인하였다. 관혈적 정복 및 다발성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술 후 1, 2, 3, 12개월째 X선 영상과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X선 촬영에서 측정한 골편의 크기는 평균 4.1 mm×2.3mm였으며, 2예에서 지절간 무지 외반증이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영상에서 측정한 골연골 병변의 크기는 평균 5.3 mm×3.9 mm×4.7 mm였으며 1예에서 회전변형, 2예에서 연부조직 감입이 관찰되었다. 무혈성 괴사, 측부 인대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인 골 유합을 얻었으며,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아의 족무지 근위 지골 원위부 관절 내 골절은 매우 드물고, 진단을 놓치거나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족부 외상 환자에서 이를 의심하고 적절한 추가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골절은 물론, 진단을 놓친 만성적인 경우라도 다발성 K-강선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을 통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Purpose: Pediatric intra-articularproximal phalangeal head fractures of the big toe are very rare and few studies on this have been pu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agnostic approach and surgical management of these extremely rare fractures, which might be easily underestimated or misdiagnose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all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intra-articular proximal phalangeal head fracture of the big toe and who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in our institution. The size of the bony fragment and hallux valgus interphalangeus angle were measured on the preoperative X-rays. The size and rotation of the osteochondral fragment, the presence of avascular necrosis, ligamentous injury and soft tissue entrapment were assessed on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s). The radiologic and functional evaluation were performed at 1 year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size of the bony fragments measured on the X-rays was 4.1 mm in width and 2.3 mm in length. Two cases showed hallux valgus interphalangeus. Preoperative MRI was performed in four cases and the average size of any osteochondral lesion was 5.3 mm in width, 3.9 mm in length, and 4.7 mm in height. Rotation of the osteochondral fragment was observed in one patient, and soft tissue entrapment was noted in two patients. Postoperatively, successful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the patients and the average time to union was 74.4 days.
Conclusion: Intra-articular proximal phalangeal head fractures of the big toe are very rare and often neglected due to incomplete ossification in the pediatric population. It is important to suspect the presence of this intra-articular fracture an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