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 원위부 골절의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시후방 각 변형을 일으키는 요인
목적: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원위 대퇴 골절 치료시 시상면상 후방 각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방사선 영상으로 골절 위치 및 유형에 따른 후방 각 변형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정상 성인 100명의 대퇴골 측면 사진을 이용한 이상적 삽입점을 찾고 이를 실제 골수강내 금속정의 삽입점과 비교하여 삽입 위치에 따른 후방 각 변형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위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8-04, Vol.31 (2), p.50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원위 대퇴 골절 치료시 시상면상 후방 각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후 방사선 영상으로 골절 위치 및 유형에 따른 후방 각 변형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정상 성인 100명의 대퇴골 측면 사진을 이용한 이상적 삽입점을 찾고 이를 실제 골수강내 금속정의 삽입점과 비교하여 삽입 위치에 따른 후방 각 변형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위치에 따른 후방 각 형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골절 유형에 따른 후방 각 형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47). 골절 정복이 불완전한 상태를 용납하고 수술하여 삽입점이 후방으로 위치할수록 후방 각 형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2).
결론: 대퇴골 원위부의 횡골절은 다른 유형에 비해 후방 각 형성이 적었으며,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점을 Blumensaat’s line 정점으로부터 후방에 위치시킬수록 후방 각 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a posterior angulatory deformity in the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of distal femo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five patients with distal femur fractures who were treated wi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one year postoperatively. The posterior angulatory deform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racture location, pattern, and insertion point and the insertion point was compared with the ideal point derived from the radiographs of 100 normal adul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sterior angulation and the entry point of the nail was analyzed.
Results: The posterior angulation was similar in terms of the fracture location; a meaningful difference was noted among the fracture patterns (p=0.047). The posterior angul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when the entry point was located more posteriorly, accepting a malreduced state (p=0.012).
Conclusion: Posterior angulation was smaller in the transverse fracture and the posterior location of the entry point from the apex of the Blumensaat’s line increased the posterior angulation.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