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형성 위용종의 내시경적 제거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상태에 따른 위용종 재발률
목적: 본 연구는 과형성 위용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한 이후 최종 H. pylori 감염 상태와 H. pylori 제균 여부에 따른 과형성 위용종의 재발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과형성 위용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하고, 상부위장관 내시경 추적 검사를 시행한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H. pylori 감염과 성공적인 제균 여부는 내시경 생검조직의 cresyl violet 특수염색과 CLO test, 또는 요소호기검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상부위장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8-04, Vol.71 (4), p.213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본 연구는 과형성 위용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한 이후 최종 H. pylori 감염 상태와 H. pylori 제균 여부에 따른 과형성 위용종의 재발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과형성 위용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하고, 상부위장관 내시경 추적 검사를 시행한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H. pylori 감염과 성공적인 제균 여부는 내시경 생검조직의 cresyl violet 특수염색과 CLO test, 또는 요소호기검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추적 검사에서 과형성 위용종의 재발을 조사하고, 최종 H. pylori 감염 상태와 제균 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16.4개월의 대상 환자 추적 기간 동안, HP pos-itive status group이 HP negative status group보다 과형성 위용종의 재발률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HP eradicated group과 HP persistent group과의 비교에서는 HP persistent group에서 재발률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위용종의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결과, 최종 H. pylori 감염 상태가 재발률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결론: 최종 H. pylori 감염 상태는 과형성 위용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한 이후 위용종의 재발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H.pylori 제균 여부에 따른 위용종의 재발률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Background/Aims: Several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leads to the disappearance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H. pylori status and eradication on the recurrence of gastric polyps after endoscopic removal. Here, we investigated the recurrence of gastric polyps according to the final H. pylori status in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moval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Methods: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6,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removal of gastric hyperplastic polyps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two months were enrolled. The success of H. pylori eradication was assessed by histology and rapid urease test or urea breath test, at least 4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eradication treatment. At follow-up, the recurrence of gastric polyp was evaluated via esophagogastroduodenoscopy.
Results: Seventy-nine patients were enroll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16.4 months, the recurrence rate of gastric polyp was 25.3%. Among those who received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the H. pylori persistent group showed a higher recurrence of polyp than the H. pylori eradicat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2.9% vs. 21.7%, p=0.269). Regarding the final H. pylori infection status, the recurrence rate of gastric polyp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 pylori positive group than in the H. pylori negative group (42.9% vs. 18.9%, p=0.031).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final H. pylori infection status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gastric polyp recurrence after endoscopic removal.
Conclusions: The final positive H. pylori infection status is significantly as |
---|---|
ISSN: | 1598-9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