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전자부 역경사 골절(AO 분류 31-A3.3)에서 경피적 강선 고정술 유무에 따른 치료결과의 비교분석
목적: 대퇴골 전자부 역경사 골절(AO 31-A3.3)에서 경피적 강선 고정술 유무에 따른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강선 고정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5예에서 경피적 강선 고정술의 경우가 17예, 경피적 강선 고정술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18예였고, 모든 경우 골수정을 사용하였다. 수술 시간, 실혈량, 입원 기간, 하지 기능점수, 일상 복귀 기간, 골유합 기간, 대퇴골 경간각 변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7-10, Vol.30 (4), p.192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대퇴골 전자부 역경사 골절(AO 31-A3.3)에서 경피적 강선 고정술 유무에 따른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강선 고정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5예에서 경피적 강선 고정술의 경우가 17예, 경피적 강선 고정술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18예였고, 모든 경우 골수정을 사용하였다. 수술 시간, 실혈량, 입원 기간, 하지 기능점수, 일상 복귀 기간, 골유합 기간, 대퇴골 경간각 변화, 골절부위 간격, 정복 정도,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경피적 강선 고정술 유무에 따른 수술 시간, 실혈량, 입원 기간, 하지 기능 점수, 일상 복귀 기간, 대퇴골 경간각 변화, 골절 부위 간격, 정복 정도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골유합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2). 경피적 강선고정술의 경우 골유합은 평균 13.3주(9-17주), 강선 고정술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골유합이 평균 17.8주(12.5-28.0주)에 이루어졌고 지연 유합 3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경피적 강선 고정술은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이는 추천할 만한 수술방법이라고 판단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percutaneous wiring in the reduction of reverse oblique trochanteric fractures (AO classification 31-A3.3) by analyzing the treatment results with or without the use of percutaneous wir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cases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14 that could be followed-up for at least one year were selected among patients with unstable trochanteric fractures who under-went either internal fixation or open reduction. Sevente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 percutane-ous wire fixation but another 18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out it. All patients received a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n intramedullary nail. The factors evaluated were as follows: the length of operation, loss of blood, length of in-hospital stay, lower limb function scale, return to pre-injury daily life, change in femur neck shaft angle, postoperative gap of the fracture site, time taken for bone attachment, quality of post-operative reduct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perative time, loss of blood, length of in hospital stay, lower limb function scale, return to pre-injury daily life, change in femur neck shaft angle, postoperative gap of the fracture site, and quality of postoperative redu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time taken for bone attachment (p=0.032). Bone attachment took 13.3 weeks (9-17 weeks) on average when fixed with percutaneous wiring and no patient was found to have any complications. When treated without percutaneous wiring, however, bone attach-ment took 17.8 weeks (12.5-28.0 weeks) on average and three cases resulted in delayed union.
Conclusion: Percutaneous wiring is a recommended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an unstable tro-chan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