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전내측 피질골 중첩에 의한 정복

목적: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켜 전내측 피질골을 중첩 시키는 방법으로 정복 후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 받고 감마-3 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후 및 최종 추시의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NSA, TAD, Cleveland index,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골유합 시기를 측정하였다. 골절 정복의 정도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ip & pelvis 2013-12, Vol.25 (4), p.280
Hauptverfasser: 김채근, Chae Geun Kim, 권석현, Suc Hyun Kweon, 한홍준, Hong Jun Han, 황재선, Jae Seon Hw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켜 전내측 피질골을 중첩 시키는 방법으로 정복 후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 받고 감마-3 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후 및 최종 추시의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NSA, TAD, Cleveland index,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골유합 시기를 측정하였다. 골절 정복의 정도는 Baumgaertner 기준 변형된 방법을 따라 양호(good), 적당(acceptable), 불량(poor)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퇴 경간각은 수술 후 평균 140。였으며, 최종 추시상 평균 135。로 감소되었다. TAD는 평균 11.3 mm였으며, 지연 나사의 위치는 정중앙에 12예, 중앙 하부에 8예가 위치하였다. 최종 추시시 지연 나사 활강 거리는 평균 5.5 mm였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3.7개월이었으며, 수술 직후 골절의 정복 상태는 양호 15예, 적당 5예로 전예에서 만족할만한 정복을 얻었다. 최종 추시상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cut out) 등의 고정실패 및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키고, 전내측 피질골 근위부를 중첩(overlap) 시키고, 전후면상 외반 정복, 측면상 전방 전위 각형성 정복은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 등의 고정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by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20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using a gamma-3 nail from August 2011 to August 2012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Using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radiographs, we measured NSA, TAD, Cleveland index,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and union time. Adequacy of reduction was assessed by a modification in the criteria of Baumgaertner and classified as good, acceptable, or poor. Results: The mean NSA was 140。postoperative and 135。at last follow-up. The mean TAD was 11.3 mm. The position of the lag screw was in center-center in 12 cases, center-inferior in eight cases. The mean distance of lag screw sliding was 5.5 mm at last follow-up. The mean union time was 3.7 months. The state of reduction postoperatively was good in 15 cases, and acceptable in five cases. There was no failure of reduction, lag screw cut-out, or other complications at last follow-up. Conclusion: The reduction method for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in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s very useful for prevention of collapse of the fracture site, lag screw cut-out, and mechanical failure.
ISSN:2287-3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