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적 경비담즙배액관 전위로 인해 발생한 화농성 간농양 1예

ENBD는 폐쇄성 담도 질환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 될 수있으나, 드물게 배액관의 이동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있다. 이에 저자 등은 오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총수담관 결석에 의한 급성 담관염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삽관한 직선형 ENBD 배액관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한 간농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main cause of pyogenic liver abscess is crytogenic in most cases, followed by the infection of biliary tract...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대한췌담도학회지 2012-04, Vol.17 (1), p.13
Hauptverfasser: 최혁수, Hyeok Soo Choi, 정민영, Min Young Jung, 최보윤, Bo Youn Choi, 김수선, Su Sun Kim, 안성민, Sung Min Ahn, 서승인, Seung In Seo, 정은주, Eun Ju Jung, 이진헌, Jin Heon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ENBD는 폐쇄성 담도 질환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 될 수있으나, 드물게 배액관의 이동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있다. 이에 저자 등은 오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총수담관 결석에 의한 급성 담관염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삽관한 직선형 ENBD 배액관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한 간농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The main cause of pyogenic liver abscess is crytogenic in most cases, followed by the infection of biliary tract and the spread of septic emboli from diverticulitis or appendicitis. But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as a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 is rare, especially after endoscopic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We experienced a case with liver abscess caused by straight-type endoscopic retrograde nasobiliary drainage (ENBD) tube migration after removal of common bile duct muddy stone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without abscess drainage after change of ENBD tube with pigtail type.
ISSN:1976-3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