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골 분절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 후 결과 및 골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목적: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고 각 예에 대해 개방성 여부, 골절 부위, 확공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 변형 정도 및 골절부의 간격에 따라 골유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9예(73%)에서 한 번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3-10, Vol.26 (4), p.275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고 각 예에 대해 개방성 여부, 골절 부위, 확공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 변형 정도 및 골절부의 간격에 따라 골유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9예(73%)에서 한 번의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의 평균 기간은 7개월(5-11개월)이었다. 불유합으로 진단된7예에서 추가적인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그 외 합병증으로 불완전 비골 신경 손상 3예, 표재성 감염 2예, 구획 증후군1예가 발생하였다. 개방성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변형 정도, 술 후 골절부의 간격은 골유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골절 부위, 확공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경골 분절 골절에서 가장 많은 합병증은 불유합으로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골절부의 각변형이나 골절부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게 골절부의 정확한 정복을 시행하도록 술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골절의 평가 및 분석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26 cases) who underwent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3 and May 2011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We evaluated the complication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bone union, including open fracture, fracture site, reaming,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Results: Nineteen cases (73%) achieved bone union with one operation at an average of 7 months (range, 5 to 11). Seven cases had secondary procedures before achieving union. Complications included 7 cases of nonunion, 3 cases of incomplete peroneal nerve injury, 2 cases of superficial infection, 1 case of compartment syndrome.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pen fracture,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Factors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racture site and reaming. Conclusion: Nonunion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To minimize this complication, comprehension of surgical techniques to reduce anatomically and careful evaluation of the fracture are required.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