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함몰형 종골 골절 환자의 최소 침습적 내고정술의 단기추시 결과
목 적: 관절 함몰형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관절 함몰형 관절 내 종골 골절로 최소 절개 족근동 접근법을 이용한 술식을 시행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7예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결과(B?hler angle, Gissane angle, calcaneal height-width, heel varus) 및 임상적 결과(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3-04, Vol.26 (2), p.12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 적: 관절 함몰형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에서 최소 침습적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관절 함몰형 관절 내 종골 골절로 최소 절개 족근동 접근법을 이용한 술식을 시행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7예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결과(B?hler angle, Gissane angle, calcaneal height-width, heel varus) 및 임상적 결과(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visual analog scale [VAS])를 평가하고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술 후 방사선학적 평가상 B?hler 각은 7.9o에서 19.8o로 회복되었고 임상적 평가상 평균 AOFAS score는 82.45점 및 평균 VAS는 3.94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은 표재성 감염 1예 및 거골하 관절염이 2예 발생하였다. 결 론: 관절 함몰형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내고정술은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 관적 정복술이 제한되는 경우 시도해볼 수 있는 수술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 term follow-up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in the management of Sanders type II,III, and IV joint depressive calcaneal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8 and May 2011, we studied 17 cases undergoing treatment with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with modified sinus tarsi approach for Sanders II, III, and IV joint depressive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We evaluated the treatment result by assessing the radiologic parameters (B?hler angle, Gissane angle, and calcaneal height/width/length) and clinical outcome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visual analog scale [VAS]) and investigating the complication. Results: Radiological results improved from 7.9o to 19.8o in the B?hler angle after the operat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clinical assessment with average AOFAS score of 82.45 and the average VAS score of 3.94. We experienced 3 cases of complications, 1 case of superficial wound infection and radiologic findings of subtalar arthritis in 2 cases.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may be a useful alternative surgical method in the management of Sanders type II, III, and IV joint depressive calcaneal fracture that cannot adopt extensile approach, which enable to obtain good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