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골절에서 동반 손상의 정도와 양상
목적: 척추골절 시 동반 손상의 양상 및 심각성 정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91명을 대상으로, 골절은 상경추, 하경추, 흉추, 흉요추, 요추로 분류하였고, 동반손상은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표피로 분류하였으며, Abbreviated Injury Scale과 Injury Severity Score (ISS)를 이용하여 손상의 심각성 정도를 구분하였다. 척추 골절 위치와 동반 손상 발생 및 심각성 정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골절 위치와 동반 손상의 유무에...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2-07, Vol.25 (3), p.203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척추골절 시 동반 손상의 양상 및 심각성 정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91명을 대상으로, 골절은 상경추, 하경추, 흉추, 흉요추, 요추로 분류하였고, 동반손상은 두경부, 안면부, 흉부, 복부, 사지 및 표피로 분류하였으며, Abbreviated Injury Scale과 Injury Severity Score (ISS)를 이용하여 손상의 심각성 정도를 구분하였다. 척추 골절 위치와 동반 손상 발생 및 심각성 정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골절 위치와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른 신경 손상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척추골절은흉요추부 (42.3%)에서 호발하였고, 134명 (47%)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다. 동반 손상 부위는 사지 (41.2%)에서 가장 높았다. 흉추부골절 (81.3%)에 비해 하경추부골절 (34.5%)시 동반 손상 발생이 적었다. 흉추부 골절 시 ISS가 평균 17.14점으로 동반손상이 가장 심하였다 (p=0.001). 신경 손상은 하경추부에서 가장 높았고, 상경추부에서 가장 낮았다 (p=0.032). 결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척추 골절 중 하경추부는 동반 손상의 빈도는 낮았으나, 동반 손상 발생 시 신경 손상의 가능성은 가장 높아 이 부위의 손상 시 환자의 처치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흉추부 골절 시에 동반손상의 심각성이 높으므로 이부 위의 골절 시 동반손상의 적절한 처치를 염두에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ry severity and patterns of associated injury in spinal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o March 2010,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291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ies due to spinal fractures. Spinal fractures were categorized as upper cervical, lower cervical, thoracic, thoracolumbar, and lumbar region, and the severity of fracture was measured using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racture site and the incidence and injury severity of the associated injury, and compared the neurologic damage according to the presence/absence of the associated injury. Results: Spinal fracture occurred in the thoracic (43.5%) and lower cervical (30.0%) levels, and associated injury developed in 134 patients (47%). The area of associated injury was in the extremity (41.2%), thorax (25.5%), head, neck, and face (21.9%). Lower cervical fracture (34.5%) had a lower prevalence than thoracic (81%) and lumbar fracture (61%). The average ISS of the associated injury was 17.14 for the thoracic fracture, 12.30 for the lower cervical fracture, 8.7 for the thoracolumbar fracture and 5.69 for the lumbar fracture. Neurologic damage was highly frequent in the lower cervical fracture and included 54 patients (62.1%) and was less frequent in the upper cervical fracture, which included 7 patients (17.9%) (p=0.032). Conclusion: Although the associated injury was less frequent in the lower cervical spine among the spinal fractures that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there was a high risk of neurologic damage in the case of associated injur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patients that suf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