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고관절 골절에서 무시멘트 대퇴 주대의 유용성 -무시멘트 주대와 시멘트형 주대 비교
목적: 70세 이상의 고령의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무시멘트 주대와 시멘트형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무시멘트 주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을 동반한 70세 이상의 대퇴경부 및 전자간부 골절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시멘트 주대를 이용한 50명을 제1군, 무시멘트 주대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50명을 제2군으로 설정하여 임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환자의 수술 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11, Vol.24 (1), p.1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70세 이상의 고령의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무시멘트 주대와 시멘트형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치료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무시멘트 주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을 동반한 70세 이상의 대퇴경부 및 전자간부 골절로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시멘트 주대를 이용한 50명을 제1군, 무시멘트 주대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50명을 제2군으로 설정하여 임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환자의 수술 시 평균 연령은 75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0개월 (최소 24개월)이었다. 입원기간은 각 군이 28.68±8.8일과 28.05±8.7일이었으며, 수술시간은 제1군과 2군이 각각 87±21.2분, 80±17분, 실혈량은 611±141.3 cc, 557±120.5 cc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합병증으로 폐 색전증 1예가 제1군에서 있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대퇴 주대 이완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고령의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무시멘트 주대를 이용한 시술의 단기 추시 결과 임상 및 방사선학적으로 시멘트형 주대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cementless stem in treating hip fracture patients older than 70.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elderly osteoporotic hip fractures in the neck and intertrochanter area who had received hip arthroplasty with over 2 years of follow up period. Among those,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hip arthroplasty with cemented stem (group 1) and hip arthroplasty with cementless stem (group 2). Each group was consists of fifty hips. Result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75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40 months (minimum 24 months). The admission period was 28.68±8.8 days for group 1 and 28.05±8.7 days for group 2 (p>0.05) and the average operation time was 87±21.2 minutes, and 80±17 minutes (p>0.05) and the total blood loss was 611±141.3 cc and 557±120.5 cc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spects. One case of pulmonary embolism occurred in group 1. Stem loosening was not observed in both groups at the last follow-up radiologic study. Conclusion: The hip arthroplasty with cementless stem for the osteoporotic hip fractures showed a competent result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short term follow up as compared with the cemented stem.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