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검체를 이용한 육안소견, 입체현미경소견 및 병리지도화 간의 검체 절제방향의 비교

목적: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정확한 병리판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검체 절제방향은 병변과 절제연이 가장 가까운 부위에 직각이 되도록 절제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는 검체 절제뱡향 설정에 있어, 병리재구축된 병리소견과 비교하여 입체현미경소견과 육안소견의 일치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조기 위암 및 고도이형성 선종으로 진단된 46명의 환자들(평균연령: 49세, 남:여=35:11)에서 절제된 48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후 절제된 표본에 대해 hema...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0-11, Vol.56 (5), p.293
Hauptverfasser: 조영관, Young Kwan Cho, 조주영, Joo Young Cho, 진소영, So Young Jin, 조원영, Won Young Cho, 정윤호, Yoon Ho Jung, 이태희, Tae Hee Lee, 김현건, Hyun Gun Kim, 김진오, Jin Oh Kim, 이준성, Joon Seong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정확한 병리판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검체 절제방향은 병변과 절제연이 가장 가까운 부위에 직각이 되도록 절제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는 검체 절제뱡향 설정에 있어, 병리재구축된 병리소견과 비교하여 입체현미경소견과 육안소견의 일치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조기 위암 및 고도이형성 선종으로 진단된 46명의 환자들(평균연령: 49세, 남:여=35:11)에서 절제된 48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후 절제된 표본에 대해 hematoxylin 염색을 하여 관찰한 입체현미경소견을 영상분석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구측을 기준으로 각각 45˚로 8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육안소견, 입체현미경 소견, 병리소견의 절제방향을 비교하였다. 결과: 절제방향 설정에 있어 육안소견의 일치율은 68% (33/48), kappa값은 0.626이었고, 입체현미경소견의 일치율은 87% (42/48), kappa값은 0.874이었다. 절제방향 설정에 있어 육안소견의 정확성은 입체현미경소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내시경의사는 가장 가까운 측면절제연의 방향을 결정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입체현미경을 이용한 분석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The correct pathologic review is very important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e cut direction of specimen should be the right angle of the closest area between the lesion and the lateral margin for the correct pathologic review.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ordance of the gross finding and stereoscopic finding compared to the pathologic mapping in the setting of the cut direction. Methods: Between December 2008 and May 2009, the objects were 48 specimens in 4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arly gastric cancer and high grade adenoma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observed by the stereoscopy and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system. The cut direction was divided by an angle of 45 degree based on the oral side of the specimen, and the cut directions of the gross finding, the stereoscopic finding, and the pathologic finding were compared. Results: The concordance of the gross finding in the setting of the cut direction was 68% (33/48), and the kappa value was 0.626, and the concordance of the stereoscopic finding in the setting of the cut direction was 87% (33/48), and the kappa value was 0.874. The accuracy of the gross find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tereoscopic finding in the setting of the cut direction (p<0.05). Conclusions: The endoscopist needs the careful observation and close attention in the setting of the cut direction of the specimen by gross finding, and stereoscopic analysis may be a useful tool for decision of the cut direc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0;56:293-298)
ISSN:1598-9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