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유경성 용종 형태를 보인 직장 평활근육종

직장의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항문 출혈, 직장통 같은 증상을 잘 동반하고 2∼5.5 cm 크기로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 직장에서 생긴 평활근육종은 용종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흔하며 대부분 고유근층에서 기원하고 점막근층이나 혈관의 근육에서도 발생한다. 높은 유사분열을 특징으로 하며 smooth muscle actin과 desmin에 염색이 되지만 c-kit와 S-100에는 염색이 되지 않는다. 저자들은 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54세 남자에서 4.5 cm 크기의 반유경성 용종을 기계적 올가미절제술로 절제하여 평활근육종으로 진단...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Sohwagi Naesigyŏng Hakhoe chi 2010-08, Vol.41 (2), p.118
Hauptverfasser: 이상헌, Sang Heon Lee, 김지현, Ji Hyun Kim, 서정아, Jeong Ah Seo, 문성수, Sung Soo Moon, 강현구, Hyoun Gu Kang, 설상영, Sang Young Seol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직장의 평활근육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항문 출혈, 직장통 같은 증상을 잘 동반하고 2∼5.5 cm 크기로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 직장에서 생긴 평활근육종은 용종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흔하며 대부분 고유근층에서 기원하고 점막근층이나 혈관의 근육에서도 발생한다. 높은 유사분열을 특징으로 하며 smooth muscle actin과 desmin에 염색이 되지만 c-kit와 S-100에는 염색이 되지 않는다. 저자들은 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54세 남자에서 4.5 cm 크기의 반유경성 용종을 기계적 올가미절제술로 절제하여 평활근육종으로 진단 후 직장 저위 전방 절제술과 보조 방사선 치료로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Rectal leiomyosarcoma is an extremely rare disease. Anal bleeding, rectal pain and a sensation of pressure in the anus are the most common symptoms. It tends to form a polypoid intraluminal mass and commonly originates from the muscularis propria, but may arise from the muscularis mucosa, or in the walls of the blood vessels. Characteristically, leiomyosarcoma has very high mitotic activity and is,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ositive for actin and desmin, but negative for c-kit and S-100. We experienced a case of a rectal leiomyosarcoma in a 54 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anal bleeding. Colonoscopic examination revealed a 4.5cm-sized semipedunculated polypoid mass at mid-rectum. We confirmed that it was a leiomyosarcoma histologically by endoscopic resection with mechanical snaring. Low anterior resection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as performed. We report here on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10;41:118-122)
ISSN:1225-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