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장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초기 결과
목적: 전자기장 네비게이션과 고식적 방법에 의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술 후 하지 정렬 및 삽입물의 위치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1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가 65예,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는 50예였다. 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와 술 후 1년 이상의 임상적 결과, 관절 운동범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기계적 축 편향은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Kennedy와 White의 역학적 축의 위치는 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9-09, Vol.21 (3), p.18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전자기장 네비게이션과 고식적 방법에 의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술 후 하지 정렬 및 삽입물의 위치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1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가 65예,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는 50예였다. 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와 술 후 1년 이상의 임상적 결과, 관절 운동범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기계적 축 편향은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Kennedy와 White의 역학적 축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군은 60예(92%), 고식적 군에서는 40예(80%)가 구역 C에 위치하였다(p=0.01). 관상면에서 대퇴골 삽입물은 네비게이션 군에서 89.4±4.1°, 고식적 군에서 87.6±4.3˚로 위치하였으며(p<0.01), 경골삽입물은 각각 89.7±1.1°, 91.9±1.8˚로 위치하여(p<0.01) 네비게이션 군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전자기장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은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단기 추시 상 임상적 결과는 비슷하였으나, 방사선학적으로 더 만족스런 삽입물의 위치를 보였으며 특히 관상면상 삽입물의 위치에 있어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of electromagnetic navigation assiste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that of conventional TKA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toperative limb alignment and the implant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15 consecutive total knee arthroplasties that were done between September 2006 and June 2007. There were 65 navigation assissted cases and 50 conventionally implanted cas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radiologic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over one year follow up after surgery and the range of motion (ROM). Results: The postoperative mechanical axis devi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tibial zone, as assessed by Kennedy and White`s method were at zone C for 60 cases (92%) in the navigation group and for 40 cases (80%) in the conventional group (p=0.01). On the coronal plane, the implant position of the femoral component was 89.4±4.1° in the navigation group and 87.6±4.3° in the conventional group (p<0.01), and the implant position of the tibial component was 89.7±1.1° and 91.9±1.8° in each group, respectively (p<0.01), and this shows the better result in the navigation group. Conclusion: Electromagnetic navigation assisted TKA had similar clinical results on the short-term follow up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KA. However, it radiologically showed a more satisfactory position of the implant and it displayed superiority in locating the precise position of the femoral and tibial components, and especially on the coronal plane. |
---|---|
ISSN: | 223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