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엽수확고(桑葉收穫高) 측정(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추기상수각형질(秋期桑樹各形質)의 측정(測定)에 의(依)한 익춘(翌春) 상엽량(桑葉量)의 예측(豫測)
익춘상엽의 수확고를 예측하기 위하여 전년에 낙엽후의 상수에 대하여 수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조장(X1), 절간수(X2), 지조직경(X3), 주당지수(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그 중 몇 가지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지조장(X1)과 절간수(X2)를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V1)에 있어서는 Y1v1=-26.8939+50.3950X1+1.1403X2 일지뢰(V2)에 있어서는 Y1v2=-372....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1969-12, Vol.10, p.35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익춘상엽의 수확고를 예측하기 위하여 전년에 낙엽후의 상수에 대하여 수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조장(X1), 절간수(X2), 지조직경(X3), 주당지수(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그 중 몇 가지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지조장(X1)과 절간수(X2)를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V1)에 있어서는 Y1v1=-26.8939+50.3950X1+1.1403X2 일지뢰(V2)에 있어서는 Y1v2=-372.1091+116.6371X1+0.1984X2 노상(V3)에 있어서는 Y1v3=149.8203+90.5125X1-0.9775X2 수원상 4호(V4)에 있어서는 Y1v4=108.1496+59.4533X1+1.4965X2의 식에 지조장(X1)과 절간수(X2)의 측정치를 대입하면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2. 지조장(X1), 절간수(X2), 지조직경(X3)의 3개 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는 데는 각품종별로 각각 Y7v1=-54.4411+32.9869X1+1.1127X2+21.7600X3 Y7v2=-494.1480-1.8756X1÷0.9788X2+110.0039X3 Y7v3=143.2836+29.1779X1-0.1644X2+48.4135X3 Y7v4=1243.2549+1.9454X1÷2.7118X2-75.6669X3 3. 지조장(X1), 절간수(X2), 지조직경(X3), 주당지수(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예측하기 위하여는 각품종별로 각각 Y11v1=233.4780+74.3713X1+1.2912X2+39.0420X3-148.9300X4 Y11v2=-317.0150+15.l524X1+1.0861X2+156.7973X3-148.3742X4 Y11v3=178.7011+29.8664X1-0.2562X2+102.4632X3-83.2693X4 Y11v4=264.0062+47.7742X1+2.6996X2+92.8882X3-192.3464X4 등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Various formulae for estimation of spring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were calculated and obtained. Four varieties of mulberry trees were used as the materials, and four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X1), node number (X2), branch diameter (X3) and branch number per stock (X4) were studied. The formulae to estimate the leaf yield of spring mulberry trees are as follows: 1. Y1v1=-26.8939+50.3950X1+1.1403X2 Y1v2=-372.1091+116.6371X1+0.1984X2 Y1v3=149.8203+90.5125X1-0.9775X2 Y1v4=108.1496+59.4533X1+1.4965X2 Where Y1v1, Y1v2, Y1v3, Y1v4, are showed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 Seuban, Ilchirye, Nosang, and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1 and X2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branch length and node number, respectively. 2. Y7v1=-54.4411+32.9869X1÷1127X2+21.7600X3 Y7v2=-494.1480-1.8756X1÷0.9788X2+110.0039X3 Y7v3=143.2836+29.1779X1-0.1644X2+48.4135X3 Y7v4=1243.2549+1.9454X1+2.7118X2-75.6669X3 Where Y7v1, Y7v2, Y7v3, Y7v4, are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Seuban, Ilchirye, Nosang,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1, X2, X3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each character, branch length, node number, branch diameter and branch number per stock, respectively. 3. Y11v1=233.4780+74.3713X1+1.2912X2+39.0420X3-148.9300X4 Y11v2=-317.0150+15.l524X1+1.0861X2+156.7973X3-148.3742X4 Y11v3=178.7011+29.8664X1-0.2562X2+102.4632X3-83.2693X4 Y11v4=264.0062÷47.7742X1+2.6996X2+92.8882X3-192.3464X4 Where Y11v1, Y11v2, |
---|---|
ISSN: | 2234-8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