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성 갑상선종으로 발현한 그레이브스병
갑상선종에 통증을 호소할 때 감별해야 할 질환은 아급성 갑상선염,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통증성 하시모토갑상선염이 있고, 드물게 악성종양의 급격한 크기 증가, 갑상선 낭종내로의 출혈, 리델갑상선염 등이 포함된다. 본 증례는 25세의 남자로 갑상선종의 심한 압통과 빈맥, 하지위약 등의 갑상선기능항진증상으로 내원하였던 경우이다. 열불내성과 안구병증의 임상양상과 99mTc-pertechnate 갑상선 스캔에서 섭취율의 증가, TBII의 증가 소견을 보여 그레이스브병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메치마졸과 프레드니솔론을 처방받았고 1주 만에 갑...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2008-10, Vol.23 (5), p.33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갑상선종에 통증을 호소할 때 감별해야 할 질환은 아급성 갑상선염,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통증성 하시모토갑상선염이 있고, 드물게 악성종양의 급격한 크기 증가, 갑상선 낭종내로의 출혈, 리델갑상선염 등이 포함된다. 본 증례는 25세의 남자로 갑상선종의 심한 압통과 빈맥, 하지위약 등의 갑상선기능항진증상으로 내원하였던 경우이다. 열불내성과 안구병증의 임상양상과 99mTc-pertechnate 갑상선 스캔에서 섭취율의 증가, TBII의 증가 소견을 보여 그레이스브병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메치마졸과 프레드니솔론을 처방받았고 1주 만에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갑상선종의 통증에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이후 외래에서 프레드니솔론을 끊었고, 5개 월경에 10 mCi I-131 방사성 요드 치료를 시행 받았다. 첫 내원 이후 8개월 시점에서 다시 갑상선종의 심한 통증과 함께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재발하였고 TBII 역시 함께 상승하였다. 본 저자들은 통증 시 시행한 갑상선 스캔에서 섭취가 증가되었던 점, 갑상선기능항진증과 함께 TBII가 상승한 점, 그리고 치료 이후에도 갑상선종의 재발을 보인 점 등을 근거로 그레이브스병에 통증성 하시모토갑상선염이 동반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갑상선 종괴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흔한 아급성 갑상선염 외에도 동통성 하시모토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그리고 이들의 병발 가능성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하여 치료와 추적관찰에 적용하여야 하겠다.
Graves` disease rarely presents as pain and tenderness of goiter, with only a few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 describe a case of painful Graves` disease presenting as 2 episodes of painful goiter. A-25-yr-old male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pain in the anterior neck, palpitations, and muscle weakness. His heart rate was 122 beat/min and body temperature was normal. The thyroid gland was enlarged and tender. His thyroid function test showed thyrotoxicosis with high TSH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and thyroid peroxidase antibody (TPO Ab). A 99mTc-pertechnate thyroid scan showed diffuse increased uptake with no focal defects. He was started on propranolol, methimazole, Lugol`s solution, and prednisolone. He was discharged 7 days later with improved painful symptoms. The prednisolone was tapered out for 2 months. Eight months after the initial pain, he experienced one more episode of thyroid pain and hyperthyroidism, with an increase in TBII. He was treated with methimazole and prednisolone, and responded well. (J Korean Endocr Soc 23:337~341, 2008) |
---|---|
ISSN: | 2093-596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