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행결장의 점막하종양상으로 발현한 아니사키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산구성 육아종 1예
아니사키스증은 아니사키스 유충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 생선 등을 날 것으로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급성 위장관 증상을 동반하므로 조기에 진단 및 치료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급성기를 지나 만성으로 진행하게 되면 점막하종양의 형태로 보일 수 있으나 드물고 대부분 위에서 발견된다. 대장에서 점막하종양의 형태로 발견된 예는 국내에서 1예 보고되었고 악성종양을 의심하여 시험개복술로 진단된 경우 이었다. 저자들은 최근 건강검진을 통해 우연히 상행결장의 점막하종양을 발견하고 조직검사를 통해 호산구성 육아종을 진단하였다. 환자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aehan Sohwagi Naesigyŏng Hakhoe chi 2008-08, Vol.37 (2), p.12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아니사키스증은 아니사키스 유충을 포함하고 있는 바다 생선 등을 날 것으로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급성 위장관 증상을 동반하므로 조기에 진단 및 치료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급성기를 지나 만성으로 진행하게 되면 점막하종양의 형태로 보일 수 있으나 드물고 대부분 위에서 발견된다. 대장에서 점막하종양의 형태로 발견된 예는 국내에서 1예 보고되었고 악성종양을 의심하여 시험개복술로 진단된 경우 이었다. 저자들은 최근 건강검진을 통해 우연히 상행결장의 점막하종양을 발견하고 조직검사를 통해 호산구성 육아종을 진단하였다. 환자가 평소 바다회를 자주 섭취하고 말초혈액도말검사에서 호산구 증가 소견이 관찰되어 아니사키스에 의한 상행결장의 호산구성육아종으로 추정 진단한 뒤 특별한 치료 없이 추적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점막하종양이 소실된 예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nisakiasi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caused by the ingestion of raw marine fish that contain Anisakis lavae. In rare cases, Anisakiasis is found as an eosinophilic granuloma that mimics a submucosal tumor. The diagnosis is usually made after surgical resection. Several cases of gastric anisakiasis imitating a submucosal lesion have been reported. However, colonic anisakiasis forming a submucosal lesion is very rare and only a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All of the cases were confirmed after surgery. Recently, we encountered a male patient with a submucosal lesion on the ascending colon during a health screening. Several biopsies were performed on the same site as the lesion. The pathological finding was eosinophilic granuloma. We tentatively diagnosed the patient with eosinophilic granuloma due to Anisakis as the patient consumed raw seafood and eosinophilia was detected on a laboratory test. We decided not to perform any procedure. One month later, the eosinophilic granuloma disappeared as seen on a follow-up colonoscopy. |
---|---|
ISSN: | 1225-7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