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 절제술이 가능한 조기 위암의 림프절 병기결정에 있어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정확도

목적: 조기 위암의 치료로 국소 치료인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계획하는데 있어 림프절 전이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내시경 절제술이 가능한 조기 위암의 림프절 병기결정에 있어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정확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수술 후 조기 위암으로 진단되었던 1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시행한 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소견과 수술 후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림프절 병기결정 후 이를 비교 하였다. 내시경 절제가 가능한 조기 위암은 전체 155...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Sohwagi Naesigyŏng Hakhoe chi 2008-08, Vol.37 (2), p.90
Hauptverfasser: 오태훈, Tae Hoon Oh, 이반석, Ban Suck Lee, 김민근, Min Geun Kim, 안정수, Jeong Soo Ahn, 전태주, Tae Joo Jeon, 서동대, Dong Dae Seo, 최원충, Won Choong Choi, 신원창, Won Chang Shin, 정명자, Myeong Ja Jeong, 김현정, Hyun Ju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조기 위암의 치료로 국소 치료인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계획하는데 있어 림프절 전이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내시경 절제술이 가능한 조기 위암의 림프절 병기결정에 있어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정확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수술 후 조기 위암으로 진단되었던 1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시행한 다중 검출기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소견과 수술 후 병리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림프절 병기결정 후 이를 비교 하였다. 내시경 절제가 가능한 조기 위암은 전체 155예 중 수술 후 병리 소견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139예, 일본 위암 학회의 치료 지침에 따른 확대적응증을 만족하는 80예, 고전적적응증을 만족하는 24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에서 림프절전이 병기결정은 정확도 65.8%, overstaging rate 27.1%, understaging rate 7.1%이었고, 내시경 절제술이 가능한 예에서 진단적 유용성은 병리 소견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군[정확도 69.8%(97/139), overstaging rate 30.2%(42/139)], 확대 적응증을 만족하는 군[정확도 72.5%(58/80), overstaging rate 27.5%(22/80)], 고전적 적응증을 만족하는 군[정확도79.2%(19/24), overstaging rate 20.8%(5/24)]이었다.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을 예측하는데 있어 확대 적응증과 고전적 적응증의 정확도는 각각 98.8%(79/80), 100%(24/24)이었다. 통계 분석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의 overstaging과 연관된 임상 및 병리 특징은 없었다. 결론: 전산화단층촬영은 내시경 절제술이 가능한 조기 위암의 림프절 병기결정에 있어 overstaging하는 경향이 있어 제한적이므로 내시경 절제술 적응증에 따른 치료적 접근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적응증 확대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Accurate staging of the lymph nodes (LNs) befor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is important.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CT for LN staging in patients the endoscopically resectable early gastric cancer (EGC).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55 EGCs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operation were analyzed. The pre-operatively performed multidetector CT scans and the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reviewed for comparing the LN staging with that using the Japanese classification system. Endoscopically resectable EGC was defined as EGC without LN metastasis and also the EGC that satisfied the EMR criteria according to the Japanese guideline. Results: The diagnostic efficacy of CT for LN staging of all the enrolled EGC patients was as follow: accuracy 65.2%, overstaging rate 29.7%, understaging rate 5.2%. The overall accuracy and the overstaging rate of CT for LN staging of endoscopically resectable EGC were as follows: EGC without LN metastasis [69.8%(97/139), 30.2% (42/139)], EGC satisfying extended criteria [72.5%(58/80), 27.5%(22/80)] and EGC satisfying limited criteria [79.2%(19/24), 20.8%(5/24)]. The accuracy of the EMR criteria for predicting node negative EGC were as follows: the extended criteria 98.8%(79/80), the limited criteria 100%(24/24).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prediction of LN metastasis before EMR according to CT staging had limited value due to the tendency of overestimation. Therefore, we should preferentially consider t
ISSN:1225-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