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 색전술로 치료한 갑상선 세침 흡인술 후 발생한 미만성 갑상선 출혈
세침흡인술(FNAC)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국소적 혈종으로 대부분 경미한 통증을 동반하고 치료없이 호전되지만 급성기도 폐쇄를 유발하는 미만성 갑상선 출혈이 드물게 발생한다. 60세 여자 환자가 갑상선 초음파상 발견된 갑상선 결절로 우엽과 좌하엽의 각각 장경 0.5 cm, 3 cm의 결절에 대하여 초음파 유도 하 FNAC를 외래에서 시행받았다. FNAC 2시간 후부터 전경부의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였으며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시술 후 6시간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내원 시 활력 징후 및 산소포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Seoul) 2008-06, Vol.23 (3), p.19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세침흡인술(FNAC)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은 국소적 혈종으로 대부분 경미한 통증을 동반하고 치료없이 호전되지만 급성기도 폐쇄를 유발하는 미만성 갑상선 출혈이 드물게 발생한다. 60세 여자 환자가 갑상선 초음파상 발견된 갑상선 결절로 우엽과 좌하엽의 각각 장경 0.5 cm, 3 cm의 결절에 대하여 초음파 유도 하 FNAC를 외래에서 시행받았다. FNAC 2시간 후부터 전경부의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였으며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시술 후 6시간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내원 시 활력 징후 및 산소포화도는 정상이었다. 신체검진상 갑상선은 미만성으로 커져 있었고 심한 압통을 동반하였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상 갑상선 크기가 미만성으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불균질한 고음영을 보이고 좌하엽 부위에 장경 1 cm의 국소 조영 증강이 관찰되었다. 경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뚜렷한 출혈 부위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갑상선 좌하엽 부위를 공급하는 동맥이 울혈되어 있어 좌위갑상선동맥에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FNAC상 소포성 병변으로 양성 소견이었다. 색전술 시행 후에도 수일간 전경부 통증과 갑상선 압통이 지속되었으나 차차 호전되는 양상으로 제6병일에 퇴원하였다. FNAC 시행 후 4주에 내원 시 갑상선의 미만성 비대와 압통은 모두 소실되었다. 저자들은 FNAC 시행 후 발생한 미만성 갑상선 출혈 1예를 동맥색전술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hematoma formation after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is a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most of these hematomas are self-limiting with minimal pain, a massive intra-thyroidal hemorrhage that produces acute airway obstruction had rarely been reported on. A 60-year old female underwent ultrasound-guided FNAC for evaluation of nodules that were in the right lobe (0.5 cm) and left lobe (3 cm) of her thyroid gland. Two hours later, the patient experienced swelling and progressive pain in the anterior neck. She visited an emergency room with dyspnea at 6 hours after FNAC. On the initial examination, her vital signs were stable and the oxygen saturation was 100%. On physical examination, her thyroid gland was tender and diffusely enlarged. Neck CT revealed diffuse enlargement of the thyroid gland with heterogeneous hyper-attenuated areas that were suspicious for intra-thyroidal hemorrhage and a highly enhanced area in the left lower lobe of the thyroid. No definite bleeding focus was identified on the angiography that was done through the carotid artery, but the left superior thyroid artery was severely congested and partial embolization was done. After embolization her neck pain and tenderness decreased over several days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the 6th hospital da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diffuse hemorrhage into the thyroid gland after FNAC, and this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J Korean Endocr Soc 23:199~203, 2008) |
---|---|
ISSN: | 2093-596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