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가정 내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경기도 일개 시에서 만 3세 이하의 아동을 자녀로 두고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체계적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표집한 후, 이들 가정의 전업주부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법을 사용한 일대일 면접으로 49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가정의 구조적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 교육수준, 가옥구조 등이 유의하였으며, 대상자의 안전행동 실천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자녀의 가정내 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전체의 49.1%(254명)이었으며,...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ehan oe'sang haghoeji 2004-12, Vol.17 (2), p.99
Hauptverfasser: 백경원, Kyung Won Paek, 송현종, Hyun Jong Song, 이국종, Kook Jong Lee, 조준필, Joon Pil C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경기도 일개 시에서 만 3세 이하의 아동을 자녀로 두고 있는 가정을 대상으로 체계적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표집한 후, 이들 가정의 전업주부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법을 사용한 일대일 면접으로 49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가정의 구조적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 교육수준, 가옥구조 등이 유의하였으며, 대상자의 안전행동 실천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자녀의 가정내 사고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전체의 49.1%(254명)이었으며, 단일변량 요인분석에서는 사고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었다. 그러나 아동의 가정내 사고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로지스틱 분석결과로는 대상자들의 안전행동 실천점수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어머니의 안전행동 실천정도가 자녀의 사고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님을 포함한 아동 양육자 대상의 아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Injuries of infants and toddlers in their homes are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s. Fatal child injuries happen in our "safe" homes. There are many situations that can cause accidents in the house. In our study, the risk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he accidents at home are 1) hazards in the house that needs improving, and 2) injury preventive behaviors of the subjects. Method: In the study, we randomly selected 627 cases from Suwon area households that had children under the age of three. Survey was conducted with mothers of the children, using one-on-one interview by specially trained people.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the analysis were t-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Children whose mother`s injury preventive behavior scores were high experienced less accident than other children(OR=1.048),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Home modification and mother`s injury preventive behavior have influences on prevention of home injuries amo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home modification checklist and educational materials on injury preventive behaviors for parents will be developed. These materials will be used as a means of safety promo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home injuries.
ISSN:1738-8767
2287-1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