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

목 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을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통해 근위 대퇴정과 반회전 나사못의 유용성, 지연나사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4명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1.3세 (34∼91세)였다. 골절의 원인은 낙상 38예, 추락 7예였다. 골절은 AO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A1형 20예, A2형 22예, A3형 3예였다. 반회전 나사못의 사용은 골절의 안...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대한골절학회지 2007-01, Vol.20 (1), p.40
Hauptverfasser: 김대중, Dae Joong Kim, 기성찬, Sung Chan Ki, 정영율, Young Yool Ch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을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통해 근위 대퇴정과 반회전 나사못의 유용성, 지연나사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44명 4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1.3세 (34∼91세)였다. 골절의 원인은 낙상 38예, 추락 7예였다. 골절은 AO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A1형 20예, A2형 22예, A3형 3예였다. 반회전 나사못의 사용은 골절의 안정성에 기준하여 45예 중 25예에서 사용하였다. 최종 추시 임상적 결과는 수상 전 보행능력의 회복으로 판정하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해부학적 정복 36예, 외반 정복 3예, 내반정복 6예였다. 최종 추시에서 43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45예 중 26예 (57.7%)에서 수상 전 보행 능력을 회복하였다. 지연나사의 활강은 평균 5.63㎜였으며 골절형태, TAD, 반회전 나사못의 사용 유무, 원위 나사못 고정수 및 골밀도 수치와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합병증은 3예 (6%)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근위 대퇴정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이나, 안정 골절에서 반회전 나사못은 반드시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roximal femoral nail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1 to March 2005, 45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with a proximal femoral nail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followed-up at least one year. The average age was 71.3 years (34~91 years). The causes of fracture were slip down in 38 cases and fall down in 7 cases. Fractures were classified with AO classification; 20 cases in type A1, 22 cases in type A2 and 3 cases in type A3. Antirotational pin was used in 25 of 45 fractures according to fracture stability. Radiological result was determined with a union. Walking ability was evaluated in the last follow-up. Results: The fractures were fixed in anatomical position in 36 cases, in valgus position in 3 cases and varus position in 6 cases. Union was occurred in 43 of 45 cases. The sliding distance of lag screw was an average of 5.63㎜ and it had no association with fracture type, TAD, usage of antirational screw, usage of distal screw and BMD. Twenty-six of 45 patients (57.7%) were recovered to pre-injury state of walking ability. Complications were occurred in 3 patients (6%). Conclusion: Proximal femoral nail was a useful instrument for all typ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but antirotational pin was not necessary in the stable type A1 intertrochnatirc fractures.
ISSN:1225-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