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ITST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PFN)의 비교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환자에게 ITST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 (PFN)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을 가진 환자 중 ITST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각각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결과는 수술 전 및 수술 후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Parker와 Palmer의 보행점수와 Salvati와 Wilson의 고관절 기능점수 및 Jensen의 사회기능 점수를 이용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대한골절학회지 2006-07, Vol.19 (3), p.303
Hauptverfasser: 손욱진, Oog Jin Sohn, 김세동, Sae Dong Kim, 김인환, In Whan Kim, 변성준, Seong Joon By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환자에게 ITST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 (PFN)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을 가진 환자 중 ITST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각각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결과는 수술 전 및 수술 후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Parker와 Palmer의 보행점수와 Salvati와 Wilson의 고관절 기능점수 및 Jensen의 사회기능 점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적 결과 중 지연 나사의 평균 활강은 ITST군이 4.1 mm, PFN군이 6.6 m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3). 임상적 결과로 Parker와 Palmer의 보행점수와 Salvati와 Wilson의 고관절 기능점수의 하락은 ITST군과 PFN군에서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근위 외측 대퇴부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ITST군에서 5예 (17%), PFN군에서 8예 (27%)였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ITST 골수정과 PFN을 이용한 치료는 안정 골절 및 불안정 골절에서 양 군 모두 좋은 결과를 얻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graphic, clinical results and the complications between who had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the ITST or the PFN.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each 30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ere treated with ITST or PFN from July 2002 to November 2005. We evaluated the radiographic results by follow-up radiography and the clinical results with the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Salvati and Wilson hip function scoring system and Jensen index. Results: The mean distance of lag screw sliding was 4.1 mm at the ITST group and 6.6 mm at the PFN group. Decrease of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Salvati and Wilson hip function score were similar. Patients complaint pain over lateral thigh area in 5 cases (ITST group) and 8 cases (PFN group). Conclusion: The ITST nail and PFN were seen good results in treatment of stable and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SSN:1225-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