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에서 진단적 개복술로 진단된 공장의 위장관 간질종양 1예
위장관 간질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은 전체 위장관 종양의 약 2%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으로 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소장에서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다. 종양이 발생한 위치와 그 크기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위장관 출혈이 가장 흔하다. 78세 남자가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위내시경검사, 대장내시경검사, 혈관조영술 및 RBC 스캔을 시행하였으나 원인을 찾지 못하였고, 지속적인 장출혈로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고 원인이 분명치 않은 심한 복통이 지속되어 진단적 개복술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aehan Sohwagi Naesigyŏng Hakhoe chi 2007-06, Vol.34 (6), p.334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위장관 간질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은 전체 위장관 종양의 약 2%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으로 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소장에서 두 번째로 발생빈도가 높다. 종양이 발생한 위치와 그 크기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위장관 출혈이 가장 흔하다. 78세 남자가 흑색변을 주소로 내원하여 위내시경검사, 대장내시경검사, 혈관조영술 및 RBC 스캔을 시행하였으나 원인을 찾지 못하였고, 지속적인 장출혈로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고 원인이 분명치 않은 심한 복통이 지속되어 진단적 개복술을 시행하였고 면역조직화학검사를 통해 공장의 위장관 간질종양을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원인 불명의 장출혈 환자에서 진단적 개복술을 통해 진단한 공장의 위장관 간질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GISTs) are the most common mesenchymal tumor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ey represent about 2% of all neoplasm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GISTs primarily affect the stomach (50~60%), but they can also affect the small intestine (20~30%), large intestine (7%) and esophagus (1%).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GISTs vary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mass. GISTs are generally KIT (CD117)-positive and are diagnosed by immunohistochemistry. Tumor size and mitotic activity are the best predictive prognostic feature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rimary GIST is complete surgical resection with a negative margin. A 78-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melena and diffuse abdominal pai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Esophagogastroduodenoscopy, colonoscopy, angiography and an RBC scan were performed but we were unable to locate the focus of the hemorrhage. A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of the jejunum was diagnosed after laparotom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334-338) |
---|---|
ISSN: | 1225-7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