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 전치환술 후의 불안정성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불안정성의 양상과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슬관절의 불안정성을 주소로 재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8명의 9례를 대상으로 불안정성 증상의 발현 시기, 양상 및 주 원인,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1개월이었다. 결과: 증상 발현 시기는 평균 10.1개월(8일~4년 4개월)이었다. 불안정성의 양상은 전-후방 불안정성이 2례, 내-외측 불안 정성이 5례, 범 불안정성이 2례였다. 치료는 더 두꺼운 폴리에틸렌 삽입물로 교정...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6-12, Vol.18 (2), p.17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불안정성의 양상과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슬관절의 불안정성을 주소로 재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8명의 9례를 대상으로 불안정성 증상의 발현 시기, 양상 및 주 원인,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1개월이었다. 결과: 증상 발현 시기는 평균 10.1개월(8일~4년 4개월)이었다. 불안정성의 양상은 전-후방 불안정성이 2례, 내-외측 불안 정성이 5례, 범 불안정성이 2례였다. 치료는 더 두꺼운 폴리에틸렌 삽입물로 교정된 경우가 1례, 측부 인대의 복원 또는 재건술과 더 두꺼운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사용을 같이 시행하여 교정된 경우가 5례, 굴곡-신전 간격의 불균형을 복구할 수 없어 제한형 치환물을 이용하여 교정된 경우가 3례였다. 모든 환자에서 슬관절의 안정성을 얻었으며, KSS 기능 점수와 슬관절 점수는 수술 전 평균 55, 56점에서 수술 후 88.8, 91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불안정성에 대하여 적극적인 측부 인대의 복원 또는 재건술과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교체를 병행하여 교정하였고, 교정이 되지 않는 심한 경우에는 제한형 치환물을 이용한 재치환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terns and the treatment of instability after primary TKA. Material & method: We studied 8 patients (9 cases) who had instability after TKA. We analyze the onset of symptom, patterns and main causes of instability, method of treatment, and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1 months. Result: Average onset of symptom after TKA was 10.1 month (8 day -4 years 4 month). The patterns of instability included anterior/posterior instability in 2, valgus/varus instability in 5 and global instability in 2. The treatments were thicker polyethylene exchange in 1, repair or reconstruction of collateral ligament with polyethylene exchange in 5, and revision with constrained or hinged implant in 3 when it was impossible to correct the imbalance of flexion-extension gap. All patients got stable knees and KSS functional and knee scores improved from average 55 and 56 points to 88.8 and 91 points respectively. Conclusion: Active repair or reconstruction of the ligament with polyethylene exchange wasone of the good options for treating instability after TKA. In cases of severe instability that could not be corrected by polyethylene exchange and repair or reconstruction of the ligament, revision with constrained or hinged implant was necessary. |
---|---|
ISSN: | 223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