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슬관절 치환술 시 경골의 내반 절골을 피하기 위한 경골고평부 중심의 위치 - 전향적, 무작위 분석

목적: 근위 경골이 내반되어 있는 경우 경골 간부 축(shaft axis)의 연장선은 경골 파간 융기의 외측 융기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이 외측 융기가 인공 슬관절 치환술 중 근위 경골 절골의 중심점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 무작위 임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4년 4월에서 12월까지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50례를 무작위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근위 경골 절골 시 한 군은 경골 절골의 근위 중심을 파간 융기의 중심으로(1군), 다른 군은 외측 융기부로(2군) 하였다. 술 전, 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6-06, Vol.18 (1), p.63
Hauptverfasser: 한계영, Kye Young Han, 남우동, Woo Dong Nam, 유기형, Kee Hyung Rhyu, 김근우, Keun Woo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근위 경골이 내반되어 있는 경우 경골 간부 축(shaft axis)의 연장선은 경골 파간 융기의 외측 융기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이 외측 융기가 인공 슬관절 치환술 중 근위 경골 절골의 중심점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 무작위 임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4년 4월에서 12월까지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50례를 무작위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근위 경골 절골 시 한 군은 경골 절골의 근위 중심을 파간 융기의 중심으로(1군), 다른 군은 외측 융기부로(2군) 하였다. 술 전, 술 후 임상적인 결과와 함께 술 후 경골 삽입물의 축과 경골의 역학적 축, 간부 축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군과 2군간의 술 전, 술 후의 임상적인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경골 삽입물에 직각인 선과 역학적 축, 경골 간부 축이 이루는 각도는 1군은 내반 2.14도/2.22도였고 2군은 외반 0.20도/0.14도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 0.01). 결론: 근위 경골의 절골 중심점을 외측으로 옮김으로서 근위 경골의 내반 절골을 방지하고 좀 더 정확한 정렬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hen there is a varus deformity in proximal tibia, the extension of a tibial shaft axis usually passes through the lateral intercondylar eminence. We performed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to find out whether the lateral eminence of tibia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proximal tibial cutting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We randomly divided fifty patients who received TKR from April to December 2004 into two groups. For a proximal tibial cutting, we located the proximal tibial reference point at the center of intercondylar eminences for group I and at the lateral eminence for group II. Along with the clinical assessment, we measured the angles between the axis of the prostheses and both the mechanical and shaft axis of tibia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linical results between two groups. The angles between the axis of the prostheses and the mechanical / shaft axis of tibiae were varus 2.14 / 2.22 degrees in group 1 and valgus 0.20 / 0.14 degrees in group 2(p=0.02, 0.01). Conclusion: With moving the reference point laterally, we could prevent the varus tibial osteotomy and achieve more reliable alignment of the tibial component.
ISSN:2234-0726